산업 기업

유정준 집단에너지협회장 "열병합발전 고사…에너지 정책 생산-소비 아울러야"

유정준 사장


유정준(사진) SK E&S 사장은 열병합발전이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친환경 분산형 전원으로 연간 1조원이 넘는 국민 편익을 제공하고 있지만 정작 사업자들은 고사 위기에 처했다고 지적했다.

석탄과 원자력 등 발전용 연료를 둘러싼 소모적 논쟁이 아니라 전기의 생산과 송전, 소비 등 전력 산업 전체를 아우르는 포괄적 정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사장은 15일 서울 쉐라톤 팔레스 호텔에서 열린 ‘제8차 에너지미래포럼’주제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국내 집단에너지 사업자들이 모인 집단에너지협회 회장이기도 한 유 사장은 “국내 36개 집단에너지 열병합발전사업자 가운데 지역난방공사, 한전과 전력공급 계약을 맺은 GS파워를 빼면 나머지 사업자들은 만성적자에 겪고 있다”고 전했다.

집단에너지업계는 공기업인 한국지역난방공사가 국내 시장의 55%가량을 장악하고 있고 나머지 업체가 남은 시장을 나눠 갖고 있다. 집단에너지 업체 대부분은 열병합발전소 사업자다.


지역난방공사와 GS파워 두 곳을 제외한 업계 전체의 손익을 살펴보면 2011년 2,30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후 매년 1,000억원이 넘는 손실이 나고 있다는 것이 유 사장의 주장이다.

관련기사



유 사장은 “열병합발전소의 경영난은 지역난방공사에 비해 원가경쟁력이 떨어짐에도 요금은 지역난방공사 기준에 맞춰 책정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고사 위기에 처한 사업자들의 생존을 위해 연료비 정산을 현실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유 사장은 발전소에 지급하는 고정비 정산금(CP·용량요금)도 확대하고 2010년 이후 지원이 끊긴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통한 지원도 요구했다.

유 사장은 특히 현재의 탈(脫)석탄·탈원전 논쟁은 발전용 연료 선택에만 집중돼 있다며 정부의 포괄적인 에너지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유 사장은 “앞으로 전력산업은 생산 부분에서의 친환경, 이송부분에서의 중앙집중에서 벗어난 분산형, 소비 부분에서는 디지털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라며 “송전과 소비 단계에서의 효율을 향상하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내 여건은 여전히 해안가에 밀집해있는 원전이나 석탄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소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수요처인 수도권까지 장거리 고압 송전(送電)하는 구조에만 매몰돼 있다”며 “분산형 전원인 열병합발전을 정책자원으로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