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EU, 대북송금 숨통죄기 돌입…효과는 미지수

대북 송금 1만 5,000유로에서 5,000유로로 낮추는 제재안 등장

유럽연합(EU)이 추진하고 있는 대북 독자제재안에 송금 제한과 투자 규제 강화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9일 보도했다. /출처: Google유럽연합(EU)이 추진하고 있는 대북 독자제재안에 송금 제한과 투자 규제 강화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9일 보도했다. /출처: Google


유럽연합(EU)이 추진하고 있는 대북 독자제재안에 송금 제한과 투자 규제 강화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EU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EU 집행기관 유럽위원회가 EU 역내에서 북한으로 송금할 수 있는 금액의 상한을 현재의 1인 1회 1만5,000 유로(약 2022만원)에서 5,000유로(약 674만원)으로 낮추는 내용을 담은 제재안을 가맹국에 보냈다고 전했다. EU는 북한 출신 노동자의 수입이 핵·미사일 개발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독재를 유지하는 자금으로 간주하고 해당 수입이 북한으로 흘러가는 것을 줄이기 위해 이런 조치를 제재안에 포함했다. 다만 북한 노동자들이 EU에서 벌어들인 임금은 북한 외교관이 직접 본국으로 가지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새 제재안이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EU통계에 따르면 가맹 10개국에서 합법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북한 출신 노동자는 624명(2016년 기준)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에서는 폴란드에서 활동하고 있는 북한 출신 노동자들이 많다. 이들은 폴란드에서만 연간 1,500만 유로(약 202억 2,000만원)을 벌어들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관련기사



EU는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결의안이 채택된 이후 북한 노동자의 역내 신규 고용을 금지하는 추가 제재를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서 영국은 북한 노동자의 노동허가를 취소하는 내용의 독자제재를 별도로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재안에는 이와 함께 EU 역내의 개인과 기업이 북한의 건설업과 조선업에 대한 투자를 금지하는 등 대북 투자 제한을 강화하는 내용도 담겼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