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김효명 고려대의료원장 "3대 중증질환 고품격 맞춤형 치료 선뵐 것"

융복합의학센터 26일 첫 삽

연면적 13만㎡…2022년 완공

암·심장·뇌신경질환 중점 배치

김효명 고려대의료원장김효명 고려대의료원장




고려대의료원이 오는 2022년 완공 예정인 융복합의학센터 조감도. /사진제공=고려대의료원고려대의료원이 오는 2022년 완공 예정인 융복합의학센터 조감도. /사진제공=고려대의료원


“오는 2022년까지 3,500억원을 들여 짓는 최첨단 융복합의학센터는 고난도 중증환자를 맞춤 진료하는 미래형 병원이자 국내 최고 수준의 의학연구개발(R&D)센터가 될 겁니다.”


김효명(사진) 고려대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은 19일 융복합의학센터 착공식(26일)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청사진을 밝혔다. 고대안암병원~안암역 부지에 건립되는 13만㎡ 규모의 융복합의학센터가 완공되면 병원 총 연면적이 지금의 2.7배(7만6,000→20만6,000㎡)로 늘어난다. 하지만 병상수는 1,051개에서 1,200개로 약 150병상 늘어나는 데 그친다. 환자의 안전성·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 병실을 6인실에서 4인실 체제로 바꾸고 1인실·중환자실·수술실 확충, 첨단장비 도입, 특성화센터 신설 등을 통해 의료 서비스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맞춰서다.

관련기사



김 원장은 “앞으로는 병상 규모보다는 의료의 질이 병원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며 “새 진료공간에 암·심장·뇌신경질환 등 3대 중증질환을 중심으로 한 특성화센터를 중점 배치해 고품질 맞춤형 치료로 승부를 걸겠다”고 말했다.

융복합의학센터에는 고려대의료원 산하 안암·구로·안산병원의 진료·연구역량을 집약한 융복합 연구개발(R&D)센터가 들어서 의료계 4차 산업혁명을 이끈다. 고려대의료원은 올해 보건복지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정밀의료 국가전략 프로젝트 2건(5년간 국비 631억원 지원)을 따냈다. 유전자 맞춤형 표적항암제 임상시험과 클라우드 기반의 병원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 게 목표다.

김 원장은 또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환자중심의 통합진료안내,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 치료를 선보이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과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항생제 처방 이력과 추가 처방 등을 실시간으로 조언해주는 ‘에이브릴(Abril) 항생제 어드바이저 AI’, 진료차트를 자동으로 인식해 입력하는 ‘진료차트 음성인식 AI’가 그 예다. 안암병원 주변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론 삼성SDS등 빅데이터·병원정보시스템 기업, 제약·의료기기 기업과의 협업도 강화할 계획이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