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脫원전 에너지 新골든룰을 찾아라] 4차혁명으로 전력피크 느는데...신재생 통합관제센터서 조절하면 OK?

■뒷말 많은 '신재생 변동성 대응안'

국가 단위 관제시스템 사례 없고

전력계통과 연계땐 송전선로 갈등



전력정책심의위원회가 지난 15일 발표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수요전망 최종안에 이어 19일 추가로 내놓은 신재생에너지 변동성(간헐성) 대응 방안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오는 2030년 전력수요 예측치의 경우 2년 만에 원전 9기 분량인 12.7GW를 줄여도 된다거나 신재생에너지 백업 설비의 적정 규모는 내놓지 못한 채 관제센터를 통해 조절하면 된다는 식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재생에너지를 전력계통에 연계시키기 위해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 역시 현실적 고려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8차 계획 전력심의위원회 신재생워킹그룹은 이날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신재생 간헐성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심의위는 날씨 등 기상여건에 따라 발생하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또 이른 시간 내에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속양수, 가스터빈 단독운전이 가능한 LNG복합 등의 백업설비를 확보하면 ‘뜨문뜨문’ 발전하는 신재생에너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봤다.

문제는 도시 단위의 신재생에너지 관제센터는 주요 선진국에서 운영되고 있지만 국가 단위의 관제센터는 실증된 사례는 스페인밖에 없다는 점이다. 전력 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좁은 지역에서 대용량의 발전을 하는 원자력발전과 달리 신재생에너지는 넓은 지역에서 소규모 발전을 하는데다 기상여건에 따라 발전량의 변화가 커 국가 단위의 통합관제가 상당히 어렵다”며 “상당한 연구와 설비 보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산업부가 대규모 신재생 발전소를 전력계통에 연계하겠다는 계획도 현실과 동떨어진다는 반응이 나온다. 발전소를 지어도 이를 전력계통에 연결시킬 송변전망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밀양 송전탑 갈등처럼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찮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가 분산형 발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국 곳곳에서 갈등이 일어날 공산이 크다.

관련기사



전력심의위 발표의 또 다른 허점은 예측 과정에서 전기자동차(EV)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력 피크 기여도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하거나 누락했다는 점이다. 한국전력거래소 제주지사가 지난해 8월 공개한 ‘제주 지역 EV 및 풍력설비 확대 정책에 따른 계통영향 연구’ 보고서는 2030년까지 제주도 전기차 보급이 100%(37만7,217대) 완료되면 제주도 전체 전력소비량의 34%를 차지하고 1일 최대 부하는 400~450㎿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8차 계획 수요계획실무소위원회가 2030년까지 300㎿의 전력수요 증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추산한 것을 이미 넘어선 결과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100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기차 전력수요 증가분을 지나치게 낮춰 잡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센터의 전력사용량을 아예 무시한 것도 논란거리다. IT서비스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국내 124개 데이터센터의 연간 전력사용량은 26.5억㎾h였다. 100만가구가 한 해 동안 사용하는 양과 비슷한 수준이다. 향후 전력수요에 미치는 파급력이 상당한데다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로 앞으로 늘어날 것이 분명 하지만 소위원회는 이에 대한 분석은 뒤로 미루고 이번 전망에 반영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미세먼지에 대한 우려가 늘어나면서 저녁 시간대 전력 부하가 급증할 가능성이 큰 인덕션의 수요량도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전기차 충전과 인덕션은 주로 퇴근 이후 시간대에 사용량이 몰린다”며 “일반 전력의 수요가 몰리는 시간대와 겹칠 가능성이 높아 예상되는 최대 부하만큼의 전력 설비를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강광우·박형윤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