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급성 심정지 한해 3만명, 10년새 50%↑

질본·소방청 의무기록 집계

생존율 높은 지역 세종·서울·울산

"빠르게 심폐소생술 시행해야"

급성 심장정지로 병원에 이송된 환자가 지난해 3만명에 육박해 최근 10년 새 50% 늘었다.급성 심장정지로 쓰러진 환자의 생존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서울·울산이고 경북·전남·전북은 전국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의무기록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국내 급성 심장정지 환자는 2만9,832명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6년 1만9,480명에 비해 53.1%가 늘었다.


급성 심장정지 생존율은 평균 7.6%로 2006년 2.3%에 비해 3배 가까이 올랐지만 지역별 편차가 컸다. 생존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11.9%), 서울(11.4%), 울산(10.9%)으로 두자릿수를 웃돌았고 경북(4.3%), 전남(4.7%), 전북(5.1%) 순으로 생존율이 낮았다. 생존율 최고 지역과 최저 지역의 차이는 7.6%포인트에 달했다.

관련기사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뇌 기능 회복률은 4.2%로 2006년 0.6%보다 7배 증가했다. 뇌 기능 회복이란 퇴원 시점에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된 상태를 말한다. 뇌 기능 회복률이 높은 지역은 세종(9.3%), 울산(6.2%), 서울(6.0%)이었고 낮은 지역은 전남(2.0%), 강원(2.5%), 경북(2.7%)이었다. 일상생활로 복귀하지 못했지만 살아서 퇴원한 비중은 같은 기간 7.6%로 나타나 10년 전 2.3%보다 3배 증가했다.

환자 중 남성의 비율은 65%가량으로 여성보다 두 배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70세 이상 어르신이 전체 환자의 절반에 달했다. 급성 심장정지가 발생한 장소는 가정이 전체의 50∼60%를 차지했고 도로(8∼10%), 요양기관(5∼7%), 구급차(4∼6%) 순이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지역별로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비슷한 차이를 유지하고 있지만 뇌 기능 회복률 차이는 매년 벌어지는 추세”며 “환자가 발생하면 신속히 119에 신고하고 최대한 빨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