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IS 최후 도시거점서 패퇴··“칼리프국가의 꿈 물거품”

美 합참의장 “점령지 없는 IS, 지부 영향력 확대 시도”

시리아 정부군이 이라크와의 경계지역에서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와 싸우기 위해 대치하고 있는 모습./AP연합뉴스시리아 정부군이 이라크와의 경계지역에서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와 싸우기 위해 대치하고 있는 모습./AP연합뉴스




시리아군과 동맹세력이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의 최후 도시를 탈환했다. 이에 따라 한때 국가를 참칭했던 IS는 일개 테러조직으로 전락했다.


관영 사나통신은 9일(현지시간) IS의 최후도시 거점 알부카말을 탈환했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IS는 이날 알부카말을 끝으로 본거지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도시 거점을 전부 상실했다. 2014년 6월 IS가 국가를 참칭한 지 3년 5개월 만이다. 유프라테스강 중류 유역에 있는 알부카말은 시리아 동부 데이르에조르주(州)의 국경도시.

이날 시리아 북부 쿠르드지역인 하사케주의 마르카다 구역에서도 IS가 전투 없이 퇴각, 주 전체가 쿠르드 민병대의 통제 아래 놓였다고 터키 관영 아나돌루통신이 보도했다.


도시를 전부 잃은 IS에 남은 점령지는 시리아 동부 사막지역과 시리아·이라크 국경지역 일부 마을, 다마스쿠스 남부의 아스와드 구역, 야르무크 난민캠프, 홈스 인근 마을 정도다.

관련기사



IS는 수도를 비롯한 점령지를 대부분 잃었기에 더는 국가 흉내를 낼 수 없다. 전세계 극단주의자를 끌어모은 중심 축도 사라졌다.

선전 속에서나 ‘칼리프국’일뿐 중동과 아프리카 일대의 여느 극단주의 무장조직 가운데 하나로 전락했다.

이라크와 시리아 IS는 아프가니스탄, 이집트, 리비아, 나이지리아 등에 있는 지부조직처럼 테러 행위와 게릴라전을 벌이며 명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 연계조직이 활발해졌다.

조지프 던퍼드 미국 합참의장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점령지 상실을 상쇄하려는 IS 수뇌부는 각 지역 무장조직을 상대로 영향력을 확대하려 시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