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썸人] ""화성도시 건설할 수 있다면 지구촌 문제도 해결 길 열리죠"

■'화성도시건축사무소' 연 베라 물랴니

화성에 숲 만들수 있다면 사막에도 가능

펀딩 등 통해 美사막에 화성기지 세울것

화성(Mars)에서 빛나고 있는 미래 도시 상상도.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화성(Mars)에서 빛나고 있는 미래 도시 상상도.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




“일론 머스크나 미항공우주국(NASA·나사)과는 접근 방식이 달라요. 우주에 관심 많은 창의적인 사람들이 모이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민간 우주로켓 기업인 스페이스X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오는 2022년까지 화성(Mars)으로 유인 우주선을 보낸 뒤 2025년까지 식민지 개발에 착수하기로 했다. 나사에서는 2033년까지 화성 유인 탐사에 나설 계획이다. 그렇다면 인류가 화성 지면을 밟는 데 성공한 다음에는 과연 어떻게 생존할 수 있을까. 이런 다소 황당한 아이디어를 벤처 창업으로 연결시킨 인물이 있다.

인도네시아 출신 예술가 베라 물랴니는 지난 2015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마스시티디자인(MarsCityDesign·화성도시 건축사무소)’을 창업하고 해마다 건축 디자인 경연을 연다. 지난달 개최한 제2회 시상식에서는 100여개의 출품작 중 디자인 세 개가 최종 선정됐다. ‘화성에서 80일간 살아남기’ ‘화성 레드우드 숲’ ‘화성탈출’ 등 나름 진지한 작품들이다. 내년에는 상금 등 총 2만달러 규모로 확대해 개최할 예정이다. 그는 스스로 최초의 ‘마키텍트(화성도시 건축가)’라 부르며 다양한 우주 워크숍도 열고 있고 있다.

베라 물랴니(왼쪽) 대표와 올해 마스시티디자인 경연대회에서 ‘화성에서 80일간 살아남기’로 상을 받은 ‘AstronautiX 팀’.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베라 물랴니(왼쪽) 대표와 올해 마스시티디자인 경연대회에서 ‘화성에서 80일간 살아남기’로 상을 받은 ‘AstronautiX 팀’.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


‘화성도시’ 디자인 경연 우승 트로피.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화성도시’ 디자인 경연 우승 트로피.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



물랴니 대표는 최근 LA 실리콘비치에 위치한 본사에서 서울경제신문 취재진과 만나 “올해 대회도 과학자·엔지니어·예술가·건축가 등 창의력 넘치면서도 화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젊고 유능한 인재들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고 자평했다. 이들의 고민은 구체적이고 실용적이다. 화성에서 쓸 시계는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 화성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내려 마시려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까지 생각한다.

관련기사



‘왜 화성에 가려고 하느냐’는 질문에 그는 “‘화성을 이용해 지구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라고 묻는 게 제대로 된 질문”이라고 바로잡았다. 화성에 나무를 심어 숲을 만들 수 있다면 지구의 그 어떤 사막에도 숲을 만들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역설적이지만 지구촌 문제의 해결 방안 모색이 ‘화성 탐사’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LA 실리콘비치 인근에서 만난 베라 물랴니 마스시티디자인 CEO / 강신우 기자LA 실리콘비치 인근에서 만난 베라 물랴니 마스시티디자인 CEO / 강신우 기자


수많은 화성도시 건축 설계도 중 하나.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수많은 화성도시 건축 설계도 중 하나.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


화성시계 개념도.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화성시계 개념도. / 마스시티디자인 제공


앞으로 마스시티디자인은 화성과 유사한 환경인 미국 모하비사막에 화성기지를 구현할 계획이다. 지난해 크라우드펀딩 ‘킥스타터’를 통해 3만달러(약 3,400만원)의 자금도 모았다. 많지 않은 금액이지만 물랴니 대표는 “우리의 임무는 사람들이 화성에 더 빨리 가고 싶도록 만드는 것”이라며 “화성 정착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 투자도 더 많아지고 화성 도시는 더 빨리 실현될 것”이라며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그는 “우주를 꿈꾸는 사람들은 다들 긍정적이고 가능성만을 바라보고 일한다. ‘불가능’은 머릿속에서 지워버린다”며 “아주 마법 같은 작업”이라고 덧붙였다.

우리가 화성(Mars)에 가려는 진짜 이유 ▲영상보기▲


/로스앤젤레스=강신우기자 seen@sedaily.com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