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머니+ 주택시장 취향을 잡아라] 청년층...신혼부부용...정부도 생애주기별 유형 주택 공급

다양한 계층 대상 공급 불구

노인층 주택정책 부족 아쉬워



정부도 기존의 획일적인 주택 공급 방식에서 벗어나 국민들의 생애주기 별로 다양한 유형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젊은층이 선호하는 도심 지역에서도 공공임대주택을 공급도 계획돼 있다.

우선 정부는 지난 8월 발표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통해 신혼부부를 위한 분양형 공공주택인 ‘신혼희망타운’을 정부 임기 동안 총 7만 가구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신혼희망타운 시범사업은 올 하반기 중 과천지식정보타운, 과천 주암, 위례신도시, 화성동탄2신도시 등에서 시작될 예정이다. 기존 공공택지뿐만 아니라 신규 공공택지를 활용해 신혼부부를 위한 전용면적 40~60㎡ 규모의 소형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공공분양주택을 포함해 10년 후 분양전환, 분납형 등 수요자가 여건에 따라 주택 유형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실질적인 분양가격은 주변 시세의 약 80% 수준으로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국토부는 젊은층이 선호하는 도심에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구청사나 주민센터, 우체국 등 30년 넘은 노후 공공청사를 복합개발해 청년 및 신혼부부에게 공공임대주택 2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국공립 어린이집도 함께 공급해 신혼부부들의 육아 부담을 줄여줄 예정이다. 아울러 청년층 매입임대 리츠와 노후주택 리모델링 사업을 등을 통해 공공임대주택 3만 가구를 공급하는 등 오는 2022년까지 도시재생과 연계해 청년층의 수요가 높은 도심 내 직주근접이 가능한 공공임대주택 5만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사회가 점점 더 분화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계층을 위한 주택을 공급하는 방향은 바람직하다”면서도 “정부의 정책이 주로 청년층을 위한 주택 공급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노인들을 위한 주택 공급 정책이 부족한 것은 아쉬운 점”이라고 지적했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