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시장 패시브화...코스피로 옮긴 기업 날아오른다

인덱스 자금 유입따라 수급개선

카카오 등 주가 상승세 가속화

국내 증시 자금의 성격이 액티브에서 패시브로 전환되면서 유가증권시장 이전 기업들의 상승세가 가속화하고 있다. 코스피200 편입 기업들을 중심으로 인덱스 자금이 유입이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신규 상장 종목들의 주가 상승세가 가파른 것도 최근 증시의 특징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0일 카카오(035720)는 유가증권시장에서 15만2,500원에 마감해 7월10일 코스닥시장에서의 이전 상장 후 50%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카카오는 코스피시장 이전 기업 중 특별히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거래소에 따르면 이제까지 코스닥시장에서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한 전체 46개 기업의 상장 후 6개월 평균 수익률은 0.3%에 불과했다. 이 기간 오른 기업의 숫자도 17개로 절반이 되지 않았다. 카카오의 경우 3개월이 지난 시점에 주가 상승률이 50%를 넘은 만큼 압도적인 수익성을 보인 것이다.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한 후 코스피200에 편입된 종목들의 1년 평균 수익률 8.3%와 비교해도 카카오의 상승세는 매우 높다.



시장 패시브화로 인한 수급 개선이 카카오 상승세의 원동력으로 분석된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0월 기준 국내 주식형 공모 펀드에서 패시브 펀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32.26%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수 상승세에 수익률 측면에서 패시브(29.48%)가 액티브(17.64%)를 압도하면서 투자자들의 자금이 패시브 펀드로 몰렸기 때문이다. 패시브의 비중이 늘어나면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의 자금도 늘어나 카카오와 같이 코스피200에 편입된 종목들은 수급 개선으로 주가 상승 모멘텀을 맞게 된다. 당장 내년 초 코스피로의 이동을 앞둔 셀트리온(068270)의 경우 이전 기대감만으로 주가가 이전 결정일인 9월29일 이후 약 22% 올랐다.


이전 기업뿐 아니라 신규 상장 기업들도 최근 증시에서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거래소에 따르면 10월 이후 증시에 입성한 6개(코스피 1개, 코스닥 5개) 종목의 9일 종가 기준 평균 수익률(78.5%)은 약 80%에 달했다. 지난달 16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상신전자가 공모가 대비 133.1% 상승해 가장 높았고 코오롱그룹 계열사인 티슈진도 89.6%나 올랐다. 이 외에 세원(76.3%), 영화테크(83.5%), 비디아이(69.5%), 테이팩스(18.7%) 등이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