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메이커운동 활성화로 文정부 혁신창업 촉진"

중기부, 국회서 토론회 개최

문재인 정부의 혁신성장의 핵심 동력인 혁신창업을 위해서는 메이커운동이 사회적으로 퍼져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9일 더불어민주당 신성장특별위원회, 혁신경제 추진위원회, 김병권 더민주당 의원실과 공동으로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개최한 ‘4차산업 혁명 시대, 메이커운동의 혁신과제와 추진방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우리나라 메이커의 현 주소를 진단하고 이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다양한 방얀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메이커운동은 아이디어를 자신의 힘으로 직접 구현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세스와 노하우를 공유·확산시켜 나가는 문화를 말한다.


추미애 더민주당 대표는 이날 축사에서 “메이커운동은 사람 중심의 포용적 경제를 지향하는 문재인 정부와 당과 관련이 깊다”며 “정보기술(IT) 강국인 한국에서 메이커 운동은 제조업 혁신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도 인사말을 통해 “우리나라는 아직 민간중심의 자생적인 메이커 생태계가 미흡하다”며 “정부는 메이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날 포럼에서 ‘메이커운동 활성화 추진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이옥형 중기부 창업생태계조성과장은 “메이커 활동공간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뿐만 아니라 국민참여 확대 및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문화적 저변을 확산하는데 정부가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번째 주제발표자로 나선 이회수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은 스마트공교육 강화로 10만 인재 육성, 정부차원의 청년메이커스 전담조직 신설, 민관협력 파트너쉽 구축 등 한국형 청년메이커스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했다.

분야별 사례 발표 나선 메이커 관계자들은 전문가와 교육학이 강화되어야 메이커가 활성화될 수 있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김병관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네 바퀴 성장론 중 하나인 혁신성장의 핵심동력은 바로 혁신창업이며 융합과 속도로 귀결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성장을 위해서는 아이디어와 창의성에 기반한 메이커 운동이 범사회적으로 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