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50대·고혈압·복부비만 男, 전립선암 주의해야

대학비뇨기과학회·대한비뇨기종양학회 연구 결과



한국인 남성 가운데 전립선암 발생에 가장 취약한 연령대는 50대로 나타났다. 또 고혈압이 있는 남성과 복부비만 남성의 전립선암 발생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각각 1.45배, 1.32배 높아 주의를 필요로 했다.

5일 대한비뇨기과학회와 대한비뇨기종양학회가 2006~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20세 이상 성인 남성의 전립선암 발생 현황을 분석해 얻어낸 결과다.


두 학회가 공동 발표한 ‘2017 한국인 전립선암 발생 현황’에 따르면 전립선암 발생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는 ‘나이’였다. 전립선암은 40세 이하 남성에게는 드물다가 50세 이상에서 발생하기 시작해 60세 이후 급격히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2015년 연령에 따른 전립선암 발생률이 10년 전인 2006년 대비 △50대 55% △60대 37% △70대 24% △80대 14% 증가해 50대 남성의 전립선암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관련기사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지 여부도 전립선암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고혈압이 있는 남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남성에 비해 전립선암 발생률이 1.45배 높았다. 또 당뇨병 환자는 1.29배, 이상지질혈증 환자는 1.4배 더 전립선암 발생률이 높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복부 둘레가 90㎝ 이상인 복부비만 남성 역시 전립선암 발생률이 그렇지 않은 남성들보다 1.32배 높아 주의를 필요로 했다.

조진선 대한비뇨기종양학회 회장(한림대 성심병원 비뇨기과 교수)은 “연령·동반질환 등 고위험 요소가 있는 사람들은 조기 검진 등을 통해 전립선암을 조기 발견해 치료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또 전립선을 둘러싼 지방이 암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 등이 있는 만큼 운동·식습관 개선을 통한 비만 예방과 적정 체중 유지 등에도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