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겨울철 미세먼지' 작년보다 줄어든 이유는?

“시베리아 고기압 영향…추워졌지만, 미세먼지 유입 봉쇄”

서울 아침 기온이 영하12도 이하로 떨어지는 등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를 보인 12일 오전 서울 광진구에서 인근 중학교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아침 기온이 영하12도 이하로 떨어지는 등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를 보인 12일 오전 서울 광진구에서 인근 중학교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달 들어 맹추위로 전국이 꽁꽁 언 가운데 미세먼지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찬바람이 중국에서 날아오는 미세먼지를 봉쇄한 효과다.

12일 기상청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12월 1∼10일 서울의 평균 기온은 -0.3도로 평년 2.1도보다 2도 넘게 낮았다. 기상청은 이 기간 전국의 평균 기온이 1.1도로, 평년의 3.0도보다 1.9도 낮았다고 분석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우랄산맥-카라 해 부근에 형성된 상층 고기압이 정체하면서 우리나라 부근 상층의 찬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온몸을 강타한 매서운 찬바람이 불면서 미세먼지는 줄었다.

관련기사



이 기간 서울의 미세먼지 PM10 평균 농도는 ㎥당 28.43㎍(마이크로그램·100만 분의 1g)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3.15㎍/㎥)보다 34.11% 줄었다. 미세먼지는 지름에 따라 1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이하의 작은 먼지를 PM10이라 하고, 2.5㎛ 이하의 작은 먼지는 PM2.5로 분류한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날이 춥다는 것은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북쪽에서 찬 바람이 불어온다는 뜻”이라며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따뜻한 바람이 불었다면 내몽골 고원 등 중국을 거쳐 미세먼지가 많이 들어왔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달 들어 PM10뿐만 아니라 PM2.5의 농도 또한 줄었다”며 “시베리아 고기압으로 인해 강한 바람이 들어오면서 대기가 잘 퍼져 미세먼지가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샛별인턴기자 setja@sedaily.com

손샛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