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긴축 지속 땐 성장률 추락 가능성도

中 대출금리 0.05%P 인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세 번째 금리 인상을 단행하자 중국이 14일 ‘깜짝’ 대출금리 인상에 나섰다.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오전 시중은행에 1년짜리 자금을 빌려주는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0.05%포인트 올려 3.25%로 인상했다. 이는 지난 1월과 3월에 이어 올 들어 세 번째 인상이다.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 7일물과 28일물 금리도 0.05%포인트씩 올려 각각 2.5%, 2.8%로 결정했다. MLF나 역레포 금리는 금융기관 간 대출로 중국 당국이 기준금리 외에 시장 유동성 조절이 필요할 때 활용하는 수단이다. 인민은행은 기준금리나 지급준비율은 그대로 유지했다.


중국 금융시장에서는 이번 조치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에 대한 대응 조치 성격이 짙은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 부양을 위해 유동성 확장 기조를 유지해오던 중국 당국은 지난해 말 미국이 본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선 후로 조심스럽게 돈줄 조이기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번에 연준이 예고됐던 금리 인상을 단행한 지 수시간 만에 중국 당국이 곧바로 금융기관 간 대출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앞으로 중국 통화정책이 빡빡해질 가능성에 한층 무게가 실렸다.

관련기사



호주뉴질랜드뱅킹그룹의 레이먼드 영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MLF 금리를 0.05포인트만 올린 것은 인민은행이 공격적 인상으로 시장이 위험에 처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미”라면서도 “중국 당국의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기울어졌고 이러한 기조는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일각에서는 2011년 이후 하락했던 중국의 기준금리가 오름세로 돌아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2011년 7월 3.5%였던 중국의 예금 기준금리는 2015년 10월 1.5%까지 꾸준히 하락한 후 지금까지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금융시장에서는 중국이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가뜩이나 과도한 부채 리스크에 시달리는 중국 경제가 큰 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본격적인 시중 유동성 조이기가 시작될 경우 중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6.5% 이하로 추락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