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외교부 “기자 폭행 中 보안업체, 중국 공안이 추천·지휘”

中 외교부 “우발적 불상사” vs 韓 “있어선 안 될 불행”

14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행사를 취재하던 한국의 한 사진기자가 베이징 국가회의 중심 B홀에서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게 폭행 당하고 있다. 위쪽부터 중국 측 경호관계자가 뒤로 밀려나오다 발로 얼굴을 가격하는 모습. /사진=청와대 공동취재단14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행사를 취재하던 한국의 한 사진기자가 베이징 국가회의 중심 B홀에서 중국 측 경호 관계자에게 폭행 당하고 있다. 위쪽부터 중국 측 경호관계자가 뒤로 밀려나오다 발로 얼굴을 가격하는 모습. /사진=청와대 공동취재단




외교부는 문재인 대통령 방중 행사를 취재하던 우리나라 사진기자를 폭행한 중국 경호업체와 관련해 “중국 공안이 추천하고 지휘해서 행사를 치르게 돼 있었다”고 밝혔다. 기자 폭행 사건이 코트라(KOTRA)가 주최한 행사에서 일어나긴 했지만 코트라는 비용만 지불했을 뿐 공안에 경호와 관련된 사안을 일임했다는 것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서 300명 이상이 참석하는 행사를 하면 공안이 추천하는 업체로부터 보안인력을 받아 행사를 진행하게 된다고 코트라 측이 이야기했다”며 “코트라는 공안에 비용을 지불했을 뿐 공안이 보안인력을 추천하고 지휘해 행사를 치르게 돼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전날 국빈만찬에서 사건에 대한 유감을 표하자 왕이 중국 외교부장도 사건의 심각성에 공감했다”며 전날 밤 9시부터 새벽 5시까지 공안의 조사가 이루어진 점을 들어 “중국 정부도 이 사건의 심각성과 심각성을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천하이 중국 외교부 아주부 부국장 또한 ‘상부 지시’라며 우리 측에 △중국 외교부는 관련 부서에 긴급 진상 조사를 요청하고 독려하고 있고 △진상 파악 후 필요한 조치 등을 검토할 예정이며 △양측이 성공적 국빈방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노력하길 기대한다는 세 가지 입장을 밝혀왔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다만 천 부국장이 이번 사건을 “경호요원들의 현장보안과 기자 취재과정에서 발생한 우발적 불상사”라고 표현한 점은 논란이 예상된다. 반면 우리 외교부 관계자는 이 사건이 “있어서는 안 될 불행한 사건이었다고 본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홈페이지에 올린 대변인 정례브리핑에서도 이번 사건과 관련한 내용을 제외했다. 이에 대해서는 “중국 측이 이미 보도가 된 내용이라 의도적으로 해당 영상을 배제한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고 외교부 관계자가 전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