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교통이 한결 편리해집니다”…스마트교차로 교통관리시스템 구축 완료

전국 최초, 딥 러닝 기술을 활용

내년도 중앙버스전용차로로 확대 구축

교통신호운영시스템 개편 추진 계획

부산시가 전국 처음으로 딥 러닝 기반의 스마트교차로 교통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딥 러닝(Deep learning)은 컴퓨터가 여러 데이터를 이용해 마치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구축한 기계 학습 기술을 말한다. 부산시는 딥 러닝 기반의 스마트교차로 교통관리시스템을 서면, 연산 등 시내 주요교차로 18개소와 중앙버스전용차로제(BRT) 구간 내 가로 4개 지점에 구축을 완료하고 19일 오전 10시 30분 교통정보서비스센터 4층에서 ‘완료보고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스마트교차로는 방향별 교통특성을 수집하기 위해 고화질의 카메라를 설치해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에 딥 러닝(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적용해 접근로별 회전통행량, 차종, 대기행렬길이, 횡단보행자 수 등을 자동으로 집계한다. 동시에 전체교차로는 물론 접근로별 서비스수준(혼잡도)을 자동으로 분석한다. 이렇게 수집·분석된 자료는 도심 교통 혼잡을 개선하기 위한 최적 신호운영과 교통체계개선 및 교통수요관리 정책 수립 시 기반 자료로 활용된다. 또 교차로 방향별 영상정보는 부산시와 경찰청의 교통정보 상황실에서 한눈에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국민 누구나 모바일,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스마트교차로 사업의 하나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구간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주요 가로 구간 4개 지점에 대해서도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을 구축했다.


스마트교차로의 주요 성과로는 전국 처음으로 딥러닝 기술을 도심 혼잡 완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 선도적으로 적용했다는 점과 이를 통한 상시적이고 과학적인 교통관리체계 기반 마련, 주요교차로에 대한 신속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함께 교차로 접근로별 영상정보서비스 구현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지난 3개월간 일선 경찰서의 교차로 내 사고에 대해 32건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건·사고 해결과 운전자 정지선 지키기에도 기여한 바 있으며, 독일을 비롯한 OECD 국가, 아세안(ASEAN) 국가, 스페인, 중국 등의 전문가도 센터를 방문해 스마트교차로에 대하여 높은 관심을 가진 바 있다.

관련기사



센터 관계자는 “스마트교차로에서 수집·분석한 자료를 통한 도로 혼잡 개선 시 경제적 편익은 수억 원에 달할 것”이라며 “내년도 스마트교차로 고도화 사업은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교통관리와 신호운영의 기능 향상을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및 예정인 구간의 주요교차로로 확대함에 동시에 교통신호운영시스템 중 MMI(Man-Machine Interface) 개편, 무선 교통신호시스템 도입, 신호정보 연계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 말했다. 부산시는 스마트교차로에서 수집·분석된 자료는 행정안전부,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함께 국가중점데이터 개방 계획의 하나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해 개방할 계획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