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ISDS 고치고 車·농산물 지킨다

산업부 "이르면 연말 협상 시작"

한미FTA 개정 추진계획 보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이 이르면 올해 말부터 시작된다. 미국의 최대 관심 사항은 자동차 분야의 방향지시등, 온실가스 규정 등 한국의 비관세 장벽 해소에 맞춰져 있다. 특히 대한(對韓) 무역적자의 대부분이 자동차 분야에서 발생하는 만큼 이 분야를 공세적으로 물고 늘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본지 11월6일자 1·4면 참조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한미 FTA 개정 협상 추진계획을 보고했다. 국회 보고는 정부가 FTA 협상을 시작하기 전 거쳐야 하는 마지막 국내 절차다. 산업부는 국회에 제출한 추진 계획에서 “올해 말 또는 내년 초 1차 협상을 시작으로 3~4주 간격의 후속 협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미 양국 간 통상 전쟁의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산업부는 협상이 개시되면 미국 측이 자동차 분야의 비관세 장벽 해소 문제를 집중적으로 이슈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 분야에 대한 요구는 무역적자 해소는 물론 미래 자동차 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보인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의 자동차 법규를 건드리면서 새롭게 성장하는 전기차의 충전 표준 등을 미국 식으로 따르도록 영향력을 미치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상품 분야에서 한국 측 잔여 관세 철폐를 앞당기고 주요 품목에 대한 관세 조정을 요구할 가능성도 높다. 서비스·투자 분야 역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나프타) 재협상에서 미국 측이 요구하는 금융 분야 로컬서버 요구 자제, 전자상거래 분야 소스코드·알고리즘 공개 요구 금지 등이 쟁점이 될 것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관련기사



통상 당국은 한미 FTA를 통한 추가 시장 개방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 개정 범위를 축소하는 등 수세적 전략을 구사할 방침이다. 특히 투자자-국가소송제(ISD)의 개선도 추진한다.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국회보고에서 ‘ISD 문제를 제기할 생각이냐’는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의원의 질의에 “손댈 생각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