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1987’릴레이 토크 콘서트 3탄 성료..“거대한 벽화처럼 완성되는 영화!”

압도적인 몰입감, 배우들의 열연, 강한 울림까지. 완벽한 3박자를 갖춘 영화로 호평을 받고 있는 <1987>이 장준환 감독, 이동진 평론가가 함께한 릴레이 토크 콘서트 3탄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1987년 1월, 스물두 살 대학생이 경찰 조사 도중 사망하고 사건의 진상이 은폐되자, 진실을 밝히기 위해 용기냈던 사람들의 가슴뛰는 이야기를 다룬 영화 <1987>이 장준환 감독과 이동진 평론가가 만나, 영화에 대한 심도 깊은 이야기를 나눴던 릴레이 토크 콘서트 3탄 현장을 공개했다.

/사진=CJ엔터테인먼트/사진=CJ엔터테인먼트


이동진 평론가는 “일반적으로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한 한국영화는 한 캐릭터를 중심으로 끌고 가는데, <1987>은 캐릭터가 아니라 철저히 사건 중심으로, 거대한 벽화를 그려내는 방식으로 전개되어서 굉장히 놀랐다”며 뜻 깊은 소감을 전했다. 이에 장준환 감독은 “일반적인 작법과는 다르고 굉장히 낯설 수 있지만, 스스로에게는 흥미로운 부분이자 도전이었다. 영화를 다 보고 나면 영화 속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역할을 한 주인공처럼 느껴지고, 관객들도 ‘내가 주인공일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을 하길 바라는 열망을 담긴 것 같다. 사건을 따라가면서 시대와 공간이 메인 캐릭터가 되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며 연출 의도와 한국 현대사에서 드라마틱했던 격동의 시간을 고스란히 담고자 했던 노력을 전했다.


유일하게 실존인물을 모티브로 하지 않은 허구의 인물이자, 관객들이 영화를 보면서 가장 많이 몰입하고 대입하게 되는 캐릭터인 ‘연희’(김태리)에 대해 장준환 감독은 “검사, 의사, 기자, 교도관 등 많은 직업군을 가진 인물들이 나오지만, 그 당시를 겪었던 평범한 사람들은 권력의 부당함을 알고 있지만 쉽사리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것을 안타까워했다. 이러한 보통 사람의 시선으로 사건을 바라볼 역할을 새내기 대학생 ‘연희’가 해주길 바랐다”고 밝혔다. 이어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면서 극중 사건의 축을 끌고 가는 대공수사처 ‘박처장’(김윤석)에 대해서는 “당시에 만연해있던 정권의 폭력성을 대변하는 인물이다. 자기만의 역사성과 신념을 가지고 행동하며, 스스로 그리는 왕국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동진 평론가는 “<1987>은 1987년을 바라보는 품이 굉장히 넓다. ‘만약 ’최검사‘가 화장 동의서에 서명했으면…’식으로 상상해보면, 각자의 위치에서 인간의 도리나 직업의 윤리적인 측면에 충실했던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을 잘 살려주고 감동을 주는 것 같다”며 단 한명이라도 다른 선택을 했다면 불가능했을 1987년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낸 영화에 대한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장준환 감독은 “당시의 보통 사람들의 결과 신념을 건 선택들을 섬세한 조각처럼 하나씩 맞춰가려고 노력했다. 관객분들 마음 안에서 큰 벽화로 남아서 나중에 한번씩 들여다볼 수 있는 그림이 되면 좋겠다”며 관객들을 향한 당부의 말을 전했다.

장준환 감독의 탄탄한 연출력과 김윤석-하정우-유해진-김태리-박희순-이희준 등 믿고 보는 연기파 배우들의 뜨거운 연기 시너지가 더해져, 강렬한 드라마와 묵직한 울림을 선사할 <1987>은 12월 27일 관객들과 만날 예정이다.

/서경스타 정다훈기자 sestar@sedaily.com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