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민 4명 중 1명은 癌으로 죽는다

심장·뇌혈관질환·자살·폐렴 順

암 사망률은 폐암이 가장 높아

경기도민의 사망 원인 1위는 ‘암’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폐암’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자살, 폐렴 순이었다.

30일 경기도가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를 분석해 발표한 ‘통계로 본 경기도민 사망원인 변화’에 따르면 지난 2016년 도내 총 사망자 수 5만5,215명 가운데 27.9%(1만5,386명)가 암으로 목숨을 잃었다. 암은 1985년(암 사망자 2,851명)부터 32년째 도내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6년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23명이었다. 암 종류별로 보면 폐암(사망률 26.9명)이 가장 높았으며 간암(16.7명), 대장암(14.1명), 위암(12.9명), 췌장암(9.1명)이 뒤를 이었다. 10년 전 대비 폐암 사망률은 3.6명(15.5%), 대장암은 3.0명(27.0%), 췌장암은 3.6명(65.5%) 증가했지만 위암 사망률은 4.8명(27.1%) 감소했다.

관련기사



연령별로 보면 30대는 위암·유방암, 40~50대는 간암, 60대 이상은 폐암이 가장 높았다. 특히 여성 유방암 사망률은 2016년 여성 인구 10만명당 9.2명으로 10년 전보다 2.4명(35.3%) 증가했으며 30∼50대 여성 암 사망 중 유방암이 1위를 차지했다.

사망 원인 순위는 암에 이어 심장질환(사망자 5,690명)이 2위, 뇌혈관 질환(4,511명)이 3위로 뒤를 이었다. 3대 사인인 암, 심장·뇌혈관질환이 전체 사망 원인의 절반에 가까운 46.4%(2만5,587명)를 차지했다. 남성의 암 사망률(148.2명)이 여자(97.5명)보다 1.52배 높았다. 남성 사망률이 여성의 2배 이상인 사인은 간질환, 운수 사고, 자살 등이었고 여성이 남성보다 사망률이 높은 사인은 뇌혈관질환, 고혈압성질환, 알츠하이머병 등이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