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상부 기도 미생물이 소아 천식 유발한다”

기도에 존재하는 특정 미생물이 소아 천식과 연관성이 있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인체 상부 기도의 특정 마이크로바이옴이 폐기능에 영향을 주고 이 마이크로바이옴의 유전자 차이가 소아 천식과 관련이 있음을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을 뜻하는 마이크로(Micro)와 생물군계을 뜻하는 바이옴(biome)의 합성어다.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과 유전자 전체를 의미한다.


연구용역을 맡은 한림대 김봉수 교수 연구팀은 정상군, 천식군, 관해군(증상 호전으로 2년간 천식이 나타나지 않은 군)을 대상으로 상부 기도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과 기능 유전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헤모필루스와 모락셀라가 정상군에서 발견됐고 포도알균은 천식군에서 높은 비율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관련기사



천식군의 마이크로바이옴 전체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기도의 염증 반응에 영향을 주는 아라키돈산 대사, 라이신 분해,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신호,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대사 등와 관련된 유전자가 다른 대상군과 유의미하게 달랐다. 또 연쇄상구균의 비율이 높을수록 1초 동안 내뱉는 날숨의 양이 낮았고 포도알균의 비율이 높을수록 기관지 과민성이 높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알레르기 전문 학술지인 알러지 3월호에 게재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인체 기도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소아 천식 질환의 경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라는 점을 증명했다”며 “앞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결과를 활용해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