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한계는 없다…다시 타오른 '평창의 불꽃'

열전 돌입한 평창 패럴림픽

남북 공동 성화봉송 화합 되새겨

한민수 로프 잡고 성화 운반 감동

컬링 '서순석·김은정' 최종 점화

아이스하키 첫판부터 한일전

휠체어컬링도 미국과 1차전

장애인 아이스하키 대표팀 주장 한민수가 9일 2018평창동계패럴림픽 개막식에서 로프를 잡고 성화대에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장애인 아이스하키 대표팀 주장 한민수가 9일 2018평창동계패럴림픽 개막식에서 로프를 잡고 성화대에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9일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패럴림픽 개막식에서 성화대에 안착한 성화가 점화되자 화려한 불꽃이 하늘을 수놓으며 축제 분위기를 북돋우고 있다. /연합뉴스9일 평창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평창동계패럴림픽 개막식에서 성화대에 안착한 성화가 점화되자 화려한 불꽃이 하늘을 수놓으며 축제 분위기를 북돋우고 있다. /연합뉴스


성화봉을 등에 진 장애인 아이스하키 대표팀 주장 한민수가 성화대로 이르는 가파른 경사면을 한 걸음씩 올라갔다. 의족과 로프에 의지해 정상에 다다른 그를 누군가 기다리고 있었다.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컬링팀의 ‘안경선배’ 김은정과 휠체어컬링 대표팀 주장 서순석. 둘이 조심스럽게 붙인 성화가 성화대에 안착하자 화려한 불꽃이 평창올림픽스타디움을 뒤덮었다. 앞서 스타디움에 성화봉을 맞잡고 가장 먼저 들어선 이는 남북 선수 최보규와 마유철이었다. 남북은 독도 없는 한반도기를 드는 것에 대한 이견 탓에 선수단 입장 때 공동입장하지는 못했지만 성화를 함께 옮기며 화합의 의미를 되새겼다.

평창동계올림픽 감동을 이을 2018평창동계패럴림픽이 9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열흘간의 공식 일정에 돌입하면서 6개 종목에서 금메달 80개의 주인을 가릴 열전에 불이 붙었다.


동계패럴림픽이 동계올림픽과 가장 다른 점은 종목별 금메달 분포다. 장애인 선수의 특성상 설상에 78개의 금메달이 집중돼 있고 빙상은 2개다. 동계패럴림픽 사상 첫 금메달을 노리는 한국 선수단의 금빛 기대도 설상에 모인다. 이번 대회 간판 태극전사로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이는 신의현(38) 선수. 10일 오전10시25분 평창 알펜시아 바이애슬론센터에서 열릴 남자 7.5㎞ 좌식 경기에서 첫 금을 터뜨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관련기사



이번 대회 둘뿐인 빙상 종목은 휠체어컬링과 장애인 아이스하키다. 휠체어컬링은 평창올림픽에서 신드롬을 일으켰던 ‘팀 킴’의 인기를 이어받겠다는 각오다. 대표팀 선수들은 5명의 성이 모두 달라 ‘오벤져스’로 불린다. 10일 오후2시35분 강릉 컬링센터에서 열릴 미국과의 1차전이 가장 중요하다. 12개국이 풀리그를 벌여 1-4위, 2-3위가 준결승을 치르기 때문에 첫 단추부터 잘 끼우고 넘어가야 한다. 2010밴쿠버패럴림픽 은메달의 자신감이 큰 무기다. 훈련장소를 못 구해 이천훈련원 수영장의 물을 얼려서 훈련하고 은메달을 땄던 대표팀이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는 지난 1월 개장한 휠체어컬링 전용경기장에서 마음껏 훈련했다. 대표팀은 10일 오후7시35분 러시아 개인자격 선수들과 2차전을 치르고 11일에는 슬로바키아를 상대한다.

아이스하키는 첫판부터 한일전이다. 10일 오후3시30분 강릉 하키센터에서 일본과 예선 B조 1차전을 치른다. 세계랭킹 3위 한국은 미국(2위), 체코(9위), 일본(10위)과 같은 조다. 조 2위 안에 들어야 4강에 나간다. 일본은 2000년에 장애인 아이스하키를 한국에 전파한 나라인데 이후 한국이 실업팀 창단 등 적극적인 투자에 나선 뒤로 한국이 전력에서 일본을 압도하게 됐다. 올 1월 일본에서 열린 국제선수권에서 금메달을 딸 때 일본을 9대1과 5대0으로 완파했다. 골리 유만균은 “하늘이 두 쪽 나도 일본을 이기겠다”고 했고 한민수는 “결승까지 꼭 진출하겠다”고 했다. 대표팀은 11일 2차전에서는 체코를 만난다.

양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