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통합한지 한달 만에…親안철수 vs 親유승민

국민의당 출신 지역위원장들

"유승민도 동반 출마해야' 성명

劉 "당화합 해치는 행위" 비판

"安 출마지연은 勢 불리기" 지적

"지선後 진영 경쟁 가열" 분석도

28일 바른미래당 서울특별시당 개편대회에서 안철수(왼쪽) 인재영입위원장과 유승민 공동대표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28일 바른미래당 서울특별시당 개편대회에서 안철수(왼쪽) 인재영입위원장과 유승민 공동대표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이 6·13지방선거를 둘러싸고 ‘안철수계’와 ‘유승민계’로 갈라져 날 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안철수 인재영입위원장의 서울시장 출마와 유승민 공동대표의 동반 출마 등을 둘러싸고 양측의 불협화음이 터져나오며 향후 당권을 잡기 위한 진영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다만 통합한 지 한달 반이 된 정당이 화학적 결합은커녕 편 가르기에 골몰하는 현 상황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바른미래당 지역위원장 100여명은 28일 안 위원장과 유 공동대표가 이번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로 동시에 출마해야 한다는 요구를 담은 성명서를 당에 제출했다. 지도부가 솔선해 출마를 선언한다면 난항에 빠진 후보 발굴이 활성화할 것이라는 게 핵심이다. 유 공동대표는 즉각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는 이날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화합을 해치는 행위”라며 “(불출마라는) 제 뜻은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성명을 낸) 지역위원장 중 거의 100% 가까이가 국민의당 출신”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전 바른정당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유승민계는 국민의당 출신들이 당내 발언권을 쥐기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안 위원장의 서울시장 출마 선언이 늦어지는 것도 이 같은 물밑 신경전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주요 지역 공천권을 두고 양 세력의 마찰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공천 퍼즐’의 핵심인 안 위원장이 굳이 일찌감치 출마를 선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안 위원장이 당무에 복귀하면서 당에서 요청한 민생특위 위원장이 아닌 인재영입위원장을 자청한 것 역시 자기 사람을 채워넣기 위한 포석이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안 위원장을 향해 “빠른 결심”을 촉구해온 유 공동대표는 장진영 전 국민의당 최고위원이 서울시장 출마를 선언하자 “안 위원장께 제가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두고 빨리 좀 결심하시라 얘기했는데”라며 각을 세우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전 안 위원장이 서울시장 출마 선언을 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지만 ‘사실무근’이라는 안 위원장의 해명으로 일단락됐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안 위원장 측과 유 공동대표 측이 서로 말을 흘리며 대치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이 같은 알력 다툼은 지방선거 이후 전당대회를 전후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바른미래당은 오는 7~8월 전당대회를 열어 지도부는 물론 조직 전반을 정비한다. 이때 당권을 쥐면 2020년 총선 때 공천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할 수 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