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선]양도세만 1조 넘어... 정몽구 회장의 '통 큰 결단'

"사회적 책임 다하겠다"

투명한 지배구조 의지

현대차그룹은 이번 지배구조 개편을 단행하며 “사회적 책임을 모두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편법 승계 논란을 불식시키고 그룹 지배구조를 안정화해 격전장으로 변한 미래차 시장에서 본격적인 추격을 하겠다는 각오다.


지배구조 개편으로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는 ‘정몽구 회장 및 정의선 부회장→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글로비스 등 계열사’ 등으로 변경된다. 개편을 위해서는 정 회장 부자가 현대모비스 지분을 사들여야 한다. 정 회장 부자는 현대모비스의 지분을 사기 위해 합병된 현대글로비스 지분을 기아차에 매각하는 등 계열사와의 지분 거래를 통해 자금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오는 7월 말 이후 변경 상장이 완료되는 시점에 기아차와 현대제철·현대글로비스가 보유하고 있는 존속회사 현대모비스 지분을 전부 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식 매입을 위해 현대글로비스 주식을 처분하면서 정 회장 부자는 1조원이 넘는 양도소득세를 낼 것으로 보인다. 올해부터 대주주 대상 과세표준이 3억원 이상일 경우 주식을 매각해 생긴 소득의 양도세율이 22%에서 27.5%로 올라가면서 세금의 규모도 늘어난다. 정 회장 부자가 낼 1조원 규모의 양도소득세는 연간 개인 기준 전체 양도소득세 2조~3조원의 30~5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관련기사



이는 정 회장이 편법을 동원하지 않고 적법하게 지배구조를 개편하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반영됐다. 그룹 관계자는 “최고경영층이 자발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해 적법하고 정당한 지배구조 개편 방식을 마련할 수 있었다”며 “이번 개편안이 사회적 지지를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주주들·시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