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체감물가 잡겠다고 한 날..보란듯 올린 영화·외식비

■ 4차 물가관계차관회의

농·수산물 비축물량 방출하고

시민단체와 연계해 외식비 감시

업계선 "인건비 탓 인상 불가피"

0715A12 3월소비자물가



정부가 무와 쌀, 수산물 등 생활 밀접 품목의 수급관리를 통해 체감 물가를 잡겠다고 나섰다. 1%대에 머무는 물가상승률이 일반 국민들의 체감 물가와는 괴리가 크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가장 민감한 식재료 대책부터 들고 나온 셈이다. 정부는 외식물가에 대해서도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일부 치킨과 영화 업계가 가격 인상을 선언하면서 체감 물가가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전반적인 물가 안정에도 일부 농·수산물과 서비스 가격이 상승, 체감 물가는 더 높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며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1~2월 한파 피해에 따른 저장량 감소로 가격이 급등한 무는 5월 출하 전까지 비축물량 600톤을 탄력적으로 방출하고 계약재배물량을 조기 출하하기로 했다. 소비자 구매 부담을 덜기 위해 농협 매장에서 최대 45%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행사도 열기로 했다. 쌀은 지난해에 비해 가격이 상승했지만 풍년이 시작되기 전 2013~2014년보다는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판단해 가격과 수급 동향을 면밀히 지켜보고 가격이 상승할 경우 공공비축미를 시장에 풀기로 했다. 고등어, 오징어, 명태, 갈치, 조기, 마른멸치 등 6개의 수산품에 대해서는 정부가 예산 863억원을 투입하여 약 18,000톤을 수매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비축 수산물은 생선 가격이 급등하는 설·추석 등 명절과 어한기에 정기적으로 방출되고 가격 급등 품목에 대해서는 수시방출도 추진한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정부는 물가 체감도가 높은 외식비는 원가 분석 등 소비자단체와 연계해 물가 감시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시민단체인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특별 물가조사를 의뢰해 김밥, 치킨 가격 등 외식 물가에 대한 분석을 실시 중이다.

정부가 체감물가를 잡겠다고 나선 이날 치킨 업계 1위인 교촌은 다음 달 1일부터 배달료를 건당 2,000원씩 받겠다고 밝혔다. 배달 고객이 대부분인 치킨 업종의 특성을 고려하면 사실상의 가격 인상이다. 업계 내에서는 치킨 업계가 잇달아 배달 서비스 유료화를 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민 간식인 치킨에 이어 대중문화 콘텐츠인 영화업계에서도 가격 인상 카드를 들고 나왔다. 피자 전문 프랜차이즈 도미노피자 역시 6일부터 피자에 한해 가격을 라지(L) 사이즈는 1,000원, 미디엄(M) 사이즈는 500원 인상하는 계획을 냈다. 도미노피자는 “지속적인 원자재 가격과 임대료 및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가격을 인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CJ CGV도 오는 11일부터 영화 관람 가격을 1,000원씩 인상할 계획이다.

교촌과 도미노피자, CGV의 이번 조치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을 해소하겠다는 차원으로 평가된다. 이와 관련 고 차관은 “일자리 안정자금의 차질없는 집행 등을 통해외식업계의 비용 부담을 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