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백브리핑] 진화하는 은행 '유스마케팅'

기존 대학 위주 기관영업 한계

복합문화공간 등에 투자 통해

젊은층에 브랜드 이미지 각인

이달 말 서울 서교동 홍대 앞에 2030세대를 위한 지하 1층, 지상 3층의 거대 ‘놀이터’가 문을 연다. ‘청춘마루’라고 이름 붙여진 이곳은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티켓 오피스’처럼 계단 형태로 외관을 꾸민 복합문화공간이다.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진 19명이 참여해 건물 자체가 하나의 예술작품을 연상케 한다. 이 공간은 KB국민은행이 적잖은 돈을 투자해 조성했다. ‘카페형 지점’ 등 이전의 점포 실험과는 궤가 다르다. 은행과 관련된 업무는 한쪽에 설치된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전부이고 공간 대부분은 공연장, 카페, 전시공간, 루프톱 미니정원 등으로 꾸몄다. 건물 조성에 투입한 비용을 상쇄할 만한 수익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는 공간이 아니지만 국민은행이 상당한 돈을 투자한 것은 젊은 세대를 겨냥한 ‘유스(Youth) 마케팅’을 위해서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관 영업을 통해 대학을 주거래은행으로 확보하는 방식으로 젊은 고객을 끌어들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은행들이 ‘브랜드 이미지 제고’라는 장기 레이스에 승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모바일 세대의 입맛에 들기 위해 은행들이 장기전에 돌입하고 있는 사례라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브랜드 이미지를 서서히 젊은층에 스며들게 해 나중에 직장을 가진 후 자연스레 해당 은행에 계좌개설을 하고 급여이체나 카드사용·대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선순환을 위한 차원”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