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뇌연구 강화해 치매발생 5년 늦춘다

정부, 관련예산 2배 늘려 3,500억으로




정부가 뇌 관련 연구개발(R&D)을 강화해 2030년 이후 치매 발병 연령을 평균 5년 늦추고 환자 증가 속도도 절반으로 떨어뜨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5년 내 뇌 분야 예산을 올해의 2배 수준인 3,500억원으로 확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제30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뇌연구촉진기본계획’(뇌연구혁신 2030)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뇌 분야에서 세계 최초 원천기술 확보가 미흡한 편으로 유망 기술 수준이 세계 최고 수준 대비 약 77%에 불과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뇌 R&D 성과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 적용해 차세대 인공지능(AI)이나 뉴로모픽칩 등을 개발하고, 뇌 연구 정보를 모은 ‘코리아 브레인 스테이션’(Korea Brain Station)도 구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뇌 연구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1, 810억원 규모인 예산을 2023년에는 2배 정도로 늘린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뇌 연구 활성화를 통해 2030년 이후 치매 발병 나이를 평균 5년 늦추고, 환자 증가 속도를 절반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뇌 연구 R&D도 사업화로 연결시켜 2023년까지 1,000억원 이상 매출을 내는 뇌 연구 관련 기업 10개를 창출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미국·EU·일본·호주 등이 참여하는 국제 뇌과학이니셔티브에도 참여하고 ‘뇌신경과학총회’(IBRO)도 내년 9월 한국뇌연구원이 있는 대구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뇌 연구가 다른 기술·산업과 융합된다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거대한 시장이 태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