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이인규 “‘논두렁 시계’ 보도의 배후에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있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수사한 이인규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이 이른바 ‘논두렁 시계’ 보도의 배후에 국가정보원이 있고 검찰은 개입한 사실이 없다고 재차 반박했다.

국정원 개혁위원회는 지난해 국정원 간부들이 이 전 부장을 만나 시계 수수 건을 언론에 흘려줘 적당히 망신을 주는 선에서 활용해달라고 언급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언론플레이를 구체적으로 지시하거나 실행한 사실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자체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이 전 부장은 과거 대검 중수부가 노 전 대통령을 수사할 때,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임채진 당시 검찰총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고급시계 수수 사실을 언론에 흘려달라고 요청했다고 폭로했다.

미국에 체류 중인 이 전 부장은 25일 기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원 전 원장이) 임채진 검찰총장에게도 직접 전화를 걸어 ‘노 전 대통령의 시계 수수 사실을 언론에 흘려 망신을 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가 거절을 당한 적도 있다”고 주장했다.


노 전 대통령이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으로부터 고급시계를 받았다는 의혹은 이로부터 일주일쯤 뒤인 2009년 4월 22일 KBS에 보도됐다고 이 전 부장은 밝혔다.

관련기사



이 전 부장은 “(국정원 간부들의 제안을) ‘거절하고 야단을 쳐서 돌려보냈는데도 결국 이런 파렴치한 짓을 꾸몄다. 정말 나쁜 X이다. 원세훈 원장님은 차관님 고등학교 선배 아니냐. 원세훈 원장에게 내가 정말 X자식이라고 하더라고 전해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시계를 논두렁에 버렸다’는 내용의 2009년 5월 13일 SBS 보도 역시 국정원의 소행으로 의심한다고 이 전 부장은 언급했다.

그는 “그간 국정원의 행태와 SBS 보도 내용, 원 전 원장과 SBS와의 개인적 인연 등을 고려해볼 때 SBS 보도의 배후에도 국정원이 있다는 심증을 굳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전 부장은 “만일 제가 잘못한 점이 있어 조사 요청이 오면 언제든지 귀국해 조사를 받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최주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