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 앞두고 '내 이름은…김순덕입니다' 발간

‘내 이름은 위안부가 아닙니다. 나는 김순덕입니다’ 발간. /사진제공=나눔의집‘내 이름은 위안부가 아닙니다. 나는 김순덕입니다’ 발간. /사진제공=나눔의집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인 경기 광주 나눔의집은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8월14일)을 앞두고 고(故) 김순덕(1921∼2004년) 할머니의 생애 이야기를 다룬 책 ‘내 이름은 위안부가 아닙니다. 나는 김순덕입니다’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

나눔의 집은 “김 할머니의 피해사항과 국내외 증언 활동, 할머니와 관련한 에피소드와 추억을 담은 이야기책 출판기념회를 오는 11일 위안부 기림일 행사와 함께 연다”고 설명했다. 나눔의집 관계자는 “이제 살아계신 위안부 피해자가 몇 분 안 되고 다들 고령이라 활동이 여의치 않은 시기가 됐다. 그동안 모아놓은 관련 자료들을 정리해서 한 분씩 소개하는 책을 엮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간한 김 할머니의 생애사 책자에는 듣고 또 들어도 ‘울컥’하게 되는 위안부 피해 이야기 외에도 할머니의 아픔을 직접 그려 표현한 그림들이 담겨 눈길을 끈다.


심리치유를 위해 배우다 보니 손수 그린 그림은 서툴고 세련되지는 않지만 때로는 이야기보다 더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관련기사



‘끌려감’이라는 그림에서는 영문도 모른 채 머나먼 타지로 끌려가야 했던 조선 여인의 공포가 느껴진다.

‘못다 핀 꽃(1995년 4월 작)’ 그림으로 위안부 문제를 상징적으로 알렸던 김 할머니는 지난 1937년 17세가 되던 해 간호사를 모집한다는 꼬임에 속아 상하이로 끌려가 위안부로 고초를 겪었다.

이후 난징을 거쳐 1940년 일본군 장교의 도움으로 귀국했다. 1992년부터 나눔의집에서 생활하며 위안부 실상을 세상에 알려오다 2004년 6월 매번 참여했던 수요집회 날 아침 세상을 떠났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