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트럼프-시진핑 담판 실패시 모든 中제품 관세 고려

블룸버그 보도




미국이 다음 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예상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담판에서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할 경우 12월 초 나머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전면적 관세 부과 발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미 관리들이 11월 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의 G20 정상회의에서 미중 정상이 진전을 보지 못할 경우의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12월 초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가 발표되면 약 60일간의 의견 수렴 기간을 거쳐 내년 2월 초 중국의 춘절 즈음과 맞물려 발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에 대한 이 같은 최후통첩성 보도의 이면에는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과의 담판을 앞두고 고도의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은 지난 7, 8월 두 차례로 나눠 1,097개 품목 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어 지난달 24일부터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내년 1월 1일부터는 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할 계획이다. 중국도 보복관세로 맞서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500억 달러, 2,000억 달러에 추가해 또 다른 ‘2,67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위협해왔다. 지난해 미국의 대중 수출액은 1,304억 달러, 중국의 대미 수출액은 5,056억 달러다. 미국이 2,67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 사실상 중국산 수입품 전체에 대해 관세 부과가 이뤄지는 것이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