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조은희 서초구청장 “집값 안정 대의 위해 그린벨트 해제 공조”

도심내 주거 공급 방안도 서울시와 적극 협조

“서초구는 집값 안정이라는 대의를 위해 국토부 입장(개발제한구역 해제)에도 동조합니다. 서울시 입장(도심 내 공급)에도 보조를 맞춰 갈 계획입니다.”

집값 안정을 위한 공급 대책으로 국토교통부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신도시 개발을, 서울시는 그린벨트 해제 대신 도심 내 공급 방안을 팽팽하게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에서 그린벨트 면적이 가장 넓은 서초구가 이에 대해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28일 서울시 서초구 대한건축사협회 대강당에서 대한건축학회 주최, 미래도시재생포럼 주관으로 열린 미래도시재생포럼 심포지엄에서 조은희 서초구청장이 위와 같은 입장을 밝혔다.


조 구청장은 “지난 9월 국토부가 발표한 집값 안정 대책에서 수도권 공공택지 확보를 통해 30만 호를 공급하겠다는 방안을 밝혔다. 이를 위한 그린벨트 해제가 국토부의 주요 이슈였다”며 “국토부에서는 상대적으로 교통 요건이 좋고 수요가 많은 그린벨트 해제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이어 “서초구는 그린벨트 면적이 전체의 50.8%로 그린벨트 25개 자치구 가운데 가장 크다”며 “서초구가 국토부의 그린벨트 해제 방안에 촉각을 곤두세우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만약 그린벨트는 한 번 풀면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풀게 된다면 어떻게 될 건가 그런 문제 생각 안 할 수 없다”며 “서초구는 어떻게 해야 하며 서울시, 국토부와 윈윈하는 방법은 없는가 구청장으로서 저의 숙제”라고 밝혔다.

조 구청장은 “서울시는 그린벨트는 미래 세대 위해서 남겨놓고 도심 내 복합 개발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사실 도심 복합 개발하는 것은 제가 구청장 되고 나서 줄기차게 주장해왔던 문제다.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통해서 그 방면을 해결할 수 있다는 심포지엄도 많이 열고 학회 용역도 한바 있다”며 “뒤늦게나마 서울시와 서초구가 입장을 함께한다는 데서 반갑고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이경훈 국민대 교수가 도심 주거 개발의 필요성과 미래상을, 장재영 서초구도시디자인 과장이 서울시 도심주거의 정책 방향과 개발사례를, 이정형 중앙대 교수가 해외 도심주거 개발의 최근 동향을 발표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