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한국 공유경제의 상황은 승차공유 업체와 택시 업계, 시민 중 누구 하나도 행복하지 않고 지속 가능한 형편도 아닙니다.”
이재웅(사진) 쏘카 대표는 4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상생을 위한 노력 없이는 데드락(교착상태)이 풀릴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다음 창업주로 대표적인 벤처 1세대로 꼽힌다. 지난 2009년 다음 대표직에서 물러난 그는 10년 만에 쏘카 대표로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 우버와 택시파이·디디추싱과 그랩 등 세계 곳곳에서 차량·승차공유와 관련한 글로벌 기업이 탄생하고 있음에도 이해관계자 간 갈등으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국내 상황을 바꿔보겠다는 일념이었다. 8월에는 기획재정부 민관합동혁신성장본부장에 임명돼 정책협의 과정에 참여하며 혁신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대표는 공유경제를 공급자가 아니라 소비자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실제로 쏘카의 자회사 VCNC가 최근 내놓은 11인승 승합차를 이용한 차량공유 서비스 ‘타다’는 승차거부를 없애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호출하는 즉시 연결되는 빠른 배차와 정형화된 기사의 행동 매뉴얼 등 탑승자 경험을 우선시하는 서비스로 빠르게 이용자를 늘려가고 있다. 그는 “연간 1,000만원의 차량유지비용을 내고 있는 1,800만대의 자가용으로 국내에 연 180조원의 시장을 만들 수 있다”며 “연 8조원의 택시 시장을 두고 싸울 게 아니라 소비자에게 더 나은 편의를 제공하면서 180조원 규모의 시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정부에도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그는 “사회 전체의 파이를 키우기 위해 기업은 지속 가능한 혁신을, 정부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규칙을 고민할 때”라며 “정부는 기업이 혁신할 수 있도록 해주고 그 혁신의 결과로 얻은 이익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세금을 걷으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구체적으로 정부에 ‘차량·기사등록제’와 같은 제도를 운영하자고 제안했다. 승차공유를 반대하는 측에서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는 승차공유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다. 현재 논의되는 ‘일 2회’ 같은 횟수제한 방식보다 소비자 편익도 증가할 것이라는 게 이 대표의 생각이다. 그는 “정부가 규칙만 만들어주면 많은 혁신기업가가 정부가 풀지 못했던 문제에 도전해 사회적 편익을 키울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또 변화를 막고 있는 지금의 갈등이 다가올 미래를 바꿀 수는 없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그는 “이르면 10년 안에 자율주행이나 차량 내 개인화 서비스가 상용화될 텐데 지금 두려워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대비하지 않으면 선택의 기회마저 놓치고 더 많은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며 “그때 우버 같은 글로벌 기업이 국내 시장을 노린다면 갈라파고스에 갇혀 있던 국내 기업은 아예 경쟁조차 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