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 52시간제 코앞인데…버스운전사 4만명 부족

전체 직종 부족인원 27만명 달해

2015A32 운전



내년 7월 주 52시간 근로제 전면 도입을 앞둔 노선버스 업계가 고질적인 운전기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노선버스 업계가 올해 목표 대비 못 뽑은 인원과 현재 인원보다 더 필요한 수를 합치면 수만명에 이르는 형편이다.


고용노동부가 19일 공개한 올해 3·4분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결과를 보면 노선버스업이 포함된 운전 및 운송 관련 직군의 분기 미충원 인원은 2만2,000명에 달했다. 미충원 인원은 기업의 구인인원에서 실제 채용인원을 뺀 값이다. 운전 및 운송 관련 직군의 전체 구인인원 대비 미충원율은 38.3%다. 운전 및 운송 관련직의 미충원 인원은 전체 직종(8만3,000명) 중 25%가 넘고 미충원율도 압도적 1위다. 고용부 관계자는 “운전 및 운송 관련 직군 미충원 인원의 상당수는 노선버스 업계에서 발생했고 매년 비슷한 규모의 인력 부족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현재 인원보다 더 필요한 숫자를 나타내는 부족인원도 운전·운송 관련직이 가장 많다. 올해 10월 기준 전체 직종의 부족인원은 26만9,000명인데 운전·운송 관련직이 4만명을 차지한다. 2위인 경영·회계·사무직(3만5,000명)보다 5,000명 많다. 세분화는 어렵지만 대다수가 노선버스 업계에서 나왔다는 게 고용부의 설명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노선버스 업계는 뾰족한 해결책이 없다고 토로한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관계자는 “지방정부가 기업들의 경영을 보조해주는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수도권 등 대도시와 지방 소도시 간 운전기사의 처우격차가 너무 크다. 여기에 근로시간도 길고 운전직을 좋지 않게 보는 편견까지 겹쳐 운전기사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그렇다고 버스 요금을 현실화하는 것은 반대 여론이 심하니 기업들로서는 손쓸 방법이 없다”고 덧붙였다.

세종=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