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서경펀드닥터] 연준 금리 인상에 반도체 업황 우려 고조…국내 주식형 펀드 1.99% 하락

유형별 펀드표



지난 주 국내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돼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글로벌 반도체 수급 악화 우려에 대장주 삼성전자가 연일 신저가를 경신하며 급락했다. 해당 기간 코스피 지수는 1.69%, 코스닥 지수는 2% 하락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4.07%), 은행업(3.79%), 건설업(2.10%)이 강세를 보인 반면 의료정밀(-9.66%), 의약품(-5.84%)은 약세를 기록했다.

23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21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1.99% 하락 마감했다. 주식형 펀드의 소유형 주식은 한 주간 모든 펀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 중소형주식 펀드 -2.28%, 일반주식 펀드 -1.90%, 코스피200인덱스 펀드 -1.71%, 배당주식 펀드가 -0.92%를 기록했다.

국내 채권시장은 강세를 보였다. 국내 경제지표 악화로 인해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국제 유가의 폭락과 국내외 통화정책이 금융완화 분위기로 전환되며 강세 마감했다. 만기별 금리를 살펴보면 국고채 1년물 금리는 전주 대비 1.1bp 하락한 1.74%를 기록했고, 3년물 금리의 경우 0.7bp 상승한 1.8%로 마감했다. 5년물 금리는 6.9bp 하락한 1.846%, 10년물 금리는 8.6bp 하락한 1.934%를 기록했다.


KG제로인에 따르면 21일 오전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11% 상승했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는 모든 펀드가 플러스 수익률을 보였다. 일반채권 펀드 0.07%, 초단기채권 펀드가 0.05%, 중기채권 펀드 0.33%, 우량채권 펀드가 0.24%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지난 주 글로벌 주요 증시는 약세를 보였다. 다우종합 지수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와 연방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이 겹치면서 하락했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글로벌 경제둔화 우려감과 국제유가 급락 등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일본은 중국의 경제 둔화 우려감과 뉴욕 증시 급락의 영향으로 닛케이 225 지수가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며 하락했다.

해외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3.96% 하락했다. 해외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은 인도주식형 펀드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섹터별 펀드에서는 기초소재섹터가 0.65%로 가장 큰 상승세를 보였다. 대유형 기준 해외채권형(0.29%)이 플러스 수익률을 보였고, 해외주식혼합형(-2.63%), 해외채권혼합형(-0.99%), 커머디티형(-0.92%), 해외부동산형(-0.43%)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

국내 공모 펀드설정액은 지난 한 주 3조 5,611억원 감소한 190조 7,482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4조 3,916억원 감소한 194조 6,491억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130억원 감소한 31조 6,508억원으로 집계됐고 순자산액은 5,778억원 감소한 28조 5,608억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1,161억원 증가한 18조 2,488억원으로 집계됐고 순자산액은 1,425억원 증가한 18조 8,062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펀드의 설정액은 전주와 동일하며, MMF 펀드의 설정액은 4조 9,134억원 감소했다. 공모 해외펀드(역외펀드 제외) 설정액은 1,837억원 감소한 35조 7,858억원으로 집계됐다./최시라 KG제로인 애널리스트

이경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