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장세 속 막판 반등

다우지수 1.14% 상승...나스닥도 0.38% 올라

국제유가는 다시 급락...WTI 3.5% 하락 반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지수는 27일(현지시간) 미·중 간 무역 긴장에도 변동성 장세를 보이며 장후반 급반등해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60.37포인트(1.14%) 뛴 23,138.8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1.13포인트(0.86%) 상승한 2,488.8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5.14포인트(0.38%) 오른 6,579.49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미 정부의 셧다운(업무 일시정지) 등 정국 상황과 미·중 간 무역협상 이슈, 주요 경제지표 등을 주시했다.

이날 증시는 큰 폭 하락했다가 급격히 반등하는 등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이 재차 커지면서 장 후반까지 시장이 불안했다.

백악관이 중국 화웨이와 ZTE(중신통신)의 장비와 부품 구매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도 겹쳤다. 중국의 11월 공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1.8% 감소하는 등 경기 부진 우려도 지속했다. 중국 공업이익이 전년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 2015년 12월 이후 약 3년 만에 처음이다.

뉴욕증권거래소 내부뉴욕증권거래소 내부



미국의 셧다운 장기화 우려도 지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일 얼마나 오래 걸리든지 간에 국경장벽건설 예산이 반영될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도 트위터를 통해 국경장벽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이에 반대하는 민주당을 비판했다.


미 의회에서는 아직 셧다운을 종결할 예산안 관련 협의나 표결 움직임이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이 하원을 장악하는 다음 달 이후에야 협상이 가능할 것이란전망이 나온다.

관련기사



주요 지수는 하지만 장 종료를 앞두고 가파르게 반등하며 상승 반전해 마감했다. 급반등을 촉발한 뚜렷한 요인이 불거지지 않는 가운데 일부에서는감세를 위해 연말에 손실을 보고 주식을 파는 이른바 ‘택스 셀링’이 마무리된 이후 저점 매수가 본격화된 영향일 수 있다는 진단이 제기됐다. 연말 시장의 거래량이 줄어든 점이 가파른 변동성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증시 전문가들은 주가 낙폭을 고려하면 저점 매수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주가가 고점 대비 20% 가량 하락해 저점 매수 시점으로 삼을 만 하지만 당분간 변동성 장세가 지속할 수 있다는 우려는 살아 있다는 분석이다.

위험자산에 대한 변동성을 보여주듯 국제유가는 이날 하루 만에 급락세로 돌아섰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2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1.61달러(3.5%) 하락한 44.6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내년 2월물 브렌트유도 배럴당 1.51달러(2.77%) 내린 52.96달러에 거래됐다.

전날 ‘깜짝 폭등’을 연출했던 뉴욕증시가 다시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자 원유 투자심리도 위축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유가는 뉴욕증시 흐름과 맞물려 움직이고 있다.

국제금값은 소폭 올랐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내년 2월물 금은 온스당 8.1달러(0.6%) 오른 1,281.10달러에 마감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