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중국,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 6~6.5%로 하향… 25년 만에 최저치

미중 무역 전쟁과 내수 침체 속 25년만에 최저치 성장률 목표로

리커창, 5일 전인대 "올해 대내외 위험 많아.. 격전 치를 각오 다져야"

도시 고용 1,100만명 늘려 고용 우선 정책 진행

"단기 부양책은 쓰지 않을 것"

중국 전인대 개막/연합뉴스중국 전인대 개막/연합뉴스



미·중 무역 전쟁과 내수침체라는 복잡한 상황에 직면한 중국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6~6.5%’로 낮췄다. 25년 만에 최저치다. 국내외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며 중속 성장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2차 연례 회의의 정부 업무 보고를 통해 이 같은 목표치를 발표했다. 리 총리는 “올해 중국은 복잡한 상황에 직면해 위험과 도전이 많아 격전을 치를 각오를 단단히 해야 한다”면서도 중국의 발전하는 경제 추세는 변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 이어 그는 “국내외 두 가지 시장을 잘 활용해 과감하게 대응하고 위기를 기회로 바꿔 발전의 주도권을 장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리 총리가 발표한 경제 계획에서는 경기 하방 압력에 대응해 재정 지출을 늘려 경기 부양에 나서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가 엿보인다. 그는 업무 보고에서 “구조 조정 등을 통해 경제가 합리적인 구간에서 운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취업, 금융, 대외 무역 등을 안정시켜 시장 신뢰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올해 도시 신규 취업자 수를 1천 100만 명 늘려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고용 안정을 꾀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앞서 시진핑 중국 주석 역시 “중국이 고용 우선 정책을 실현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관련기사



중국은 올해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온건한 통화정책을 지속해서 병행하겠다고 밝혔지만, 단기 부양책은 실시하지 않을 예정이다. 이를 위해 재정적차 목표치 역시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2.6%에서 올해 2.8%로 높였다. 소비자 물가상승률도 3% 안팎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중국은 농촌 빈곤 인구를 1,000 만 명 이상 감소하고 에너지 소비량도 3%가량 줄이기로 결정했다. 반면 국방예산은 작년과 비슷하게 올해는 7.5% 증액할 예정이라 밝혔다. 첨단 시설 및 군 장비 도입을 통해 미국에 대응할 수 있는 군사력 확보를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