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003550)그룹이 시스템통합(SI) 업체인 LG CNS의 지분 35%를 매각한다.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인데 거론됐던 기업공개(IPO)는 더 늦춰지는 셈이다.
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G CNS는 대주주 지분 일부를 매각하기 위해 JP모건을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인수후보를 찾고 있다.★관련기사 13면
매각 대상은 지주회사인 ㈜LG가 보유한 LG CNS의 지분 85% 중 35%다. ㈜LG는 총수 일가가 지분 46.6%를 보유하고 있다. 공정거래법 개정안은 총수 일가가 지분 20% 이상을 보유한 기업에 대해서도 자회사 지분을 50% 이상 보유하면 ‘일감 몰아주기 대상’에 포함한다. LG그룹이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서 벗어나려면 LG CNS 지분을 35% 이상 팔아야만 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대기업 SI 업체 50개사에 내부거래 비중과 내부 수의계약 비중 등을 묻는 질의서를 보내며 실태조사에 들어갔다.
IB 업계는 ㈜LG가 규제 한도 이상의 지분을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넘길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글로벌 사모펀드(PEF)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인수 의향을 밝혔지만 ‘경영권 매각’은 없다는 방침만 확인했다. 경영권 인수 수준이 아니어도 IB 업계의 관심은 높다. LG CNS는 그룹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이 50%를 넘어 매출이 안정적이다. 텍사스퍼시픽그룹(TPG)이 인수 의지를 보이고 있고 복수의 국내 사모펀드도 검토 작업에 착수했다. 매각가격은 7,000억원 안팎으로 추산한다. 대기업 계열 SI인 한화S&C와 GSITM의 매각가격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의 10배 수준이었다. LG CNS의 최근 3년 평균 EVITDA는 2,700억원 선이다. 지분율 35%의 EBITDA 10배면 9,000억원대지만 경영권 프리미엄이 없어 7,000억원 선이 적정하다는 평가다
매각으로 선회하면서 IPO 시기는 더 늦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실제로 들어오는 현금이나 규제 해소 차원에서 상장보다 매각이 유효한 선택”이라면서 “다만 구체적인 매각구조를 제시하지 않아 변수는 여전하다”고 말했다.
[공정위 압박에 ‘발빠른 처분’ ...사모펀드 먹거리 전락 우려도]
공정거래위원회의 압박에도 버티던 재계가 최근 들어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 해당하는 계열사 처분을 서두르고 있다. 임기 2년 차를 넘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재계에 경고장을 보내는 한편 실제 조사를 강화하면서다. 이 틈에 반사이익을 보는 쪽은 국내외 사모펀드(PEF)다. 매각 대상이 된 상당수 기업의 지분은 PEF 손으로 넘어갔다.
개정 공정거래법안은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 총수 지분율 상장사 30%→20% △지주사의 자회사와 손자회사 지분율 요건 20%→30% △규제 대상 회사가 50% 이상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도 포함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규제를 벗어나기 위해 재계는 기업의 지분을 매각하거나 다른 회사와 전략적 지분교환을 잇따라 실시하고 있다.
LG그룹은 시스템통합(SI) 업체인 LG CNS의 지분 35% 매각을 추진한 것을 비롯해 재계에서 오너 일가 계열사 처분에 가장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LG그룹의 지주회사 체제 밖에 있던 전자부품 제조사 지홍은 지난해 말 총수 일가 지분이 기업은행이 출자한 PEF로 넘어갔다.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을 맡았던 서브원 역시 PEF인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에 지분 60%를 팔았다.
다만 LG그룹은 CNS에 대해 공정위의 예외 적용을 받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CNS는 SI 본업에 집중하는 주력계열사로 그룹 내 일감 비중을 줄이고 외부사업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클라우드 SI 기업 중 3위 안에 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혹은 공정위 허용 아래 한화S&C처럼 기업분할 뒤 일부 지분만 파는 방안도 거론된다.
공정위의 일감 몰아주기 규제는 소수지분을 쥔 총수 일가가 그룹의 알짜사업을 독식하는 것을 막는 명분이 있다. 그러나 기계적인 규제 적용으로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공정위의 엄포에 따른 반강제 매각이다 보니 매각하는 대기업의 협상력이 떨어진다. 주요 인수자인 PEF는 계열사 간 일정한 매출 보장을 요구하고 문어발식 인수를 하고 있지만 대기업과 달리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는 점도 아이러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3대 사모펀드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법무법인 김앤장을 통해 국내 일감 몰아주기 규제에 대해 설명을 요청하는 등 투자차익을 낼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김 위원장의 발언에 따라 규제가 오락가락하는 점도 재계는 불만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총수 직계 일가가 SI·물류·부동산관리·광고 등 그룹 핵심사업과 관계없는 분야의 지분을 매각하지 않으면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후 대기업 계열사 주가가 폭락하자 김 위원장은 “비상장사를 언급한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당시 재계에서는 SI는 핵심이냐, 아니냐를 놓고 김 위원장 발언의 진의를 추론하는 촌극이 일기도 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 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대기업은 법 통과 시 대상이 될 수 있는 계열사 처리를 놓고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공정거래법의 국회 통과가 늦어지면서 오히려 진보 진영에서 개혁 후퇴를 비판하고 있고 공정위 차원의 조사는 오히려 강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