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증시부진에 공매도 7개월 만에 최대

지난달 공매도 거래대금 5,375억

증시 부진이 공매도 활용도 높여

외인 공매도 최대

개인은 진입 장벽에 막혀 줄어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등에 대한 우려로 국내 주식시장이 활기를 찾지 못하는 가운데 공매도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친 하루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5,375억원으로 전월보다 37.1%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기록한 6,336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지난달 공매도가 급증한 것은 증시가 부진했던 이유가 크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 판 뒤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남기는 방법이다. 즉,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것이다.


지수가 바닥을 향하면서 공매도의 활용도는 높아졌다. 실제로 지난달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7.3%, 7.7% 하락했다. 52주 신저가를 기록한 종목은 309개로 전체 상장종목의 13.8%에 달해 상장종목 7개 중 1개꼴로 신저가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투자자별로는 외국인의 하루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이 3,313억원으로 61.6%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높았다. 기관이 2,015억원(37.5%)으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개인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46억원으로 0.9%에 그쳤다. 지난달 외국인투자가의 하루평균 공매도 거래금액은 7개월 만의 최대였지만 현실적으로 공매도 활용에 진입 장벽이 있는 개인투자자는 오히려 올해 4월을 제외하면 지난해 10월 이후 최소였다.

투자자별 증시 거래금액 중 공매도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도 역시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달 외국인의 일평균 증시 거래대금 중 공매도 거래대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15.6%였지만 개인은 0.1%에 불과했다. 기관은 13.9%였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