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지난해 역사적인 6.12 북미정상회담 1주년을 맞은 시점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으로부터 아름다운(beautiful) 친서(親書)를 받았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의 친서가 북미 간 교착상태를 해소하는 마중물 역할을 해왔던 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이달 말 방한을 계기로 비핵화 협상의 동력이 살아날지 주목된다.
로이터 통신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월요일(10일)에 받은 친서에 대해 “매우 따뜻했다(very warm)”며 “긍정적인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친서를 받은 사실을 깜짝 공개하면서 이를 계기로 난항을 겪고 있는 북미 간 대화의 불씨가 살아날 것이라 기대감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 김 위원장은 북미 간 대립이 극심할 때마다 친서 외교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해왔다. 지난해 5월 1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당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대미 강경 메시지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전격 취소’라는 초강수를 두면서 북미 관계가 얼어붙자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 사태를 진정시켰다. 올해도 비핵화 방식을 두고 북미가 첨예한 대치를 이어가던 1월 김영철 당시 통일전선부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전달한 바 있다. 양국 정상은 친서를 주고 받은 뒤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의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1차 북미정상회담 1주년 즈음에 전달된 시점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은 양 정상이 6·12 싱가포르 선언 당시 도출한 공동성명을 재확인하고 톱다운 방식의 비핵화 해법을 원한다는 내용을 전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외교가에서는 북미가 6월말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미국이 주장하는 일괄타결식 빅딜과 북한이 주장하는 단계적 해법 사이의 절충점을 마련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미 조야에서는 일괄타결식 빅딜에 대한 회의론이 조금씩 형성되고 있다. 실제 지난달 워싱턴을 방문해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및 제임스 인호프 상원 군사위원장 등 미 조야 인사들과 면담을 진행한 국회 한미의회외교포럼 소속 여야 의원들은 “하원 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비핵화는 전체적으로 단계적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들이 나왔다”고 밝히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 내 대표적인 강경파인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NSC)도 이례적으로 이날 3차 북미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 “전적으로 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열쇠는 김 위원장이 쥐고 있다”며 북한의 태도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친서에 대한 얘기 외에도 김정남의 ‘CIA 정보원설’을 언급하며 “그(김 위원장)의 이복형에 관한 CIA(중앙정보국) 관련 정보를 봤다. 내 임기 하에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CIA를 통해 김정은 정권에 대한 적대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공개적으로 함으로써 북미 대화의 불씨를 이어가려 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2차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북미가 북핵 해법과 관련 서로의 분명한 시각 차를 확인한 만큼 3차 정상회담이 조만간 열리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북미 간 물밑접촉 가능성은 있는데 북한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 정황은 포착이 안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 말을 살펴봐도 미국이 입장을 바꾸겠다는 말은 아니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서 정상회담 가능성은 열려 있지만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진단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 “친서가 오간 게 이날까지 10번정도 되는데 이게 2차 북미회담 전까지는 고비마다 북미관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은 맞지만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에는 지금 미국의 입장이 바뀌었다”며 “친서를 과시함으로써 김정은과의 관계를 강조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2차 북미회담을 통해 미국이 명확히 원하는 바를 문서로 북한에 보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북한의 명확한 답변이 있어야 3차 정상회담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어 “지금 미중 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이전같이 준비가 안 된 상황에서 만나면 국내 정치적으로 비판에 직면하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그런 위험을 굳이 떠안을 필요가 없어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