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영국 여행주의보서 ‘北억류 호주유학생’ 언급

"북한 당국에 거슬리는 행동은 주의해야” 당부

지난해 평양 과학기술전당에서 바라본 과학자 거리. /서울경제DB지난해 평양 과학기술전당에서 바라본 과학자 거리. /서울경제DB



영국이 새로 발령한 여행주의보에 호주인 유학생 북한 억류 사례 관련 내용을 추가했다.

영국 외무부는 9일(현지시간) 변동된 여행주의보에서 최근 북한 당국에 의해 억류됐다가 풀려난 호주 유학생 알렉 시글리(29)를 언급하며 “필수적인 여행을 제외한 북한행을 자제할 것을 권한다”고 전했다. 지난해 8월 북한에 억류됐다가 23일 만에 풀려난 일본인 단체관광객의 사례도 함께 거론했다.


외무부는 “다른 국가에서 사소하게 여겨질 수 있는 위반 행위가 북한에서는 아주 심각한 처벌을 부른다”면서 특히 “북한 지도부나 당국에 대해 불경스럽다고 여겨질 수 있는 행동을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앞서 ‘통일려행사’라는 북한 전문 여행사의 설립자인 시글리는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조선 문학 석사 과정을 밟던 중 지난달 25일부터 연락이 두절됐다가 9일 만인 이달 4일 석방됐다.

관련기사



평양 유학 중 북한 당국에 억류됐다가 풀려난 호주인 대학생 알렉 시글리(29·오른쪽 2번째)가 4일 일본 하네다 국제공항에 도착했다./연합뉴스=도쿄 EPA평양 유학 중 북한 당국에 억류됐다가 풀려난 호주인 대학생 알렉 시글리(29·오른쪽 2번째)가 4일 일본 하네다 국제공항에 도착했다./연합뉴스=도쿄 EPA


외무부는 “북한 주재 영국대사관이 제공할 수 있는 영사적 지원은 평양 (지역에)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 외 지역에서는 접근이 통제돼 (영사 지원이) 지극히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북한에서 불안정한 사태가 발발하거나 안보 상황이 악화할 경우 이런 제한적인 영사 지원마저 상당히 어려워질 수 있다면서 “북한 당국에 억류된 외국인이 영사적 지원을 받지 못한 사례도 있다”고도 덧붙였다.

그러면서 북한을 여행하게 되는 경우 정치·안보 상황을 신중하게 살피고 초청 기관 또는 여행사와 연락을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북한에 체류 중이거나 개별 여행을 고려하고 있다면 반드시 평양 주재 대사관에 여행 일정을 알릴 것을 권고했다.
/황민아 인턴기자 nomad@sedaily.com

황민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