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갈등이 갈수록 고조되는 가운데 인터넷에서 ‘토착왜구’라는 단어를 놓고 네티즌들의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토착왜구’는 ‘일본의 입장을 옹호하는 한국인’을 비판할 때 주로 쓰이는 단어다. 지난 3월 문정선 민주평화당 대변인이 “반민특위로 인해 국민들이 분열됐다”라고 발언한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를 논평하면서 공식 석상에서 ‘토착왜구’라는 말을 써 주목 받은 적이 있지만, 일상 생활보다는 인터넷과 SNS상에서 더 흔히 쓰인다.
‘토착왜구’라는 말의 유래에 대해선 견해가 엇갈린다. 한 언론에서는 일제강점기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인 이태현 선생이 정암사고에서 쓴 ‘토왜(土倭)’라는 말이 기원이라고 추측했다. 이에 대해 역사학자 전우용 씨는 이태현 선생이 처음 썼다고 단정 짓기 힘들다며 당시에 ‘일본인 앞잡이 노릇을 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토왜’라는 말이 이미 널리 쓰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전 씨는 ‘토왜’가 현대식으로 변한 말이 ‘토착왜구’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토착왜구’라는 말에 대한 네티즌들의 해석은 제각각이다. 한 네티즌은 ‘토착왜구’라는 말엔 일본인을 향한 비하의 의미가 담겨 있다고 지적했다. ‘왜(倭)’라는 말 자체가 일본인을 낮춰 부르는 의미인 만큼 ‘토착왜구’는 인종주의적 단어라는 것이다. 실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왜(倭)’는 ‘일본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정의돼 있다. ‘토착왜구’라는 말이 ‘조센징’, ‘전라디언’ 등 비하하는 의미를 담은 단어와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토착왜구’라는 말을 사용하는 맥락에 대한 비판도 있다. 한 네티즌은 ‘토착왜구’라는 말이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람을 몰아붙일 때 사용된다고 꼬집었다. 최근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로 반일 감정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이 말이 건전한 토론보단 상대의 발언권 자체를 묵살해 버린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반론도 있다. ‘왜(倭)’는 과거에 일본이 정식 국호를 사용하기 전 스스로를 칭할 때 쓰던 말이기 때문에 일본인을 비하하는 의미가 담겨 있지 않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토착왜구’라는 표현이 일제 강점기를 경험한 역사적 맥락에 비춰봤을 때 약자들이나 피해자들을 비하하는 단어와는 다르다고 말한다. 어느 네티즌은 ‘토왜’라는 말이 ‘친일파’나 ‘민족 배반자’라는 말보다 정치적인 효과가 큰 것 같다며 이 말이 유용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17일 한국을 방문한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가 “한일관계 해결 노력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힘에 따라 미국이 한일 양국 갈등에 외교적 해법을 찾아낼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