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보일러, 여름철이라고 방심하면 안전사고”

폭우 시 전원 뽑아야…연통 점검 필수

“연통 손상되면, 유독가스 사고 가능성”

겨울과 달리 여름에는 보일러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여름에 잘못 관리하면 자칫 안전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장마는 끝났지만, 기습적인 폭우가 내릴 때 관리에 더욱 신경써야한다는 조언이다.

3일 경동나비엔에 따르면 폭우가 내릴 때는 보일러의 전원 플로그를 반드시 뽑아야 한다. 보일러 전기 회로판이 낙뢰로 망가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보일러가 침수되면 전원을 차단하고 밸브를 닫아야 후속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폭우가 내릴 때 확인해야 하는 게 연통이다. 빗물이 연통을 타고 보일러 안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면, 부품이 손상된다.


특히 연통이 손상되면 연소 폐가스의 배출 불량이 일어나 일산화탄소 중독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해야 한다.

관련기사



귀뚜라미 관계자는 “보일러 연통 점검은 가스 중간밸브를 잠그고 전원코드를 뺀 상태에서 해야 한다”며 “보일러 열이 충분히 식었는지 확인하고 연통의 이탈, 찌그러진 부분을 보면 된다. 연통 체결 부위를 흔들어서 쉽게 빠지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여름에도 1~2주에 한 번씩 1시간 보일러를 작동하면, 실내 습기를 제거하고 곰팡이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경동나비엔 관계자는 “창문을 닫으면 오히려 곰팡이 번식을 돕는다”며 “공기가 잘 통하도록 창문을 열고 보일러를 작동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일러업계에서는 수명이 10년이 넘은 보일러를 노후 보일러고 보고 교체를 권장한다. 귀뚜라미 관계자는 “사용 연한과 별개로 가스공급 업체나 보일러 제조사로부터 연 1회 이상 점검을 받아야 안전하다”고 당부했다.


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