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S전선, 세계 최초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 성공

전력 손실 없이 송전 가능해져

명노현(왼쪽에서 다섯번째) LS전선 대표와 관계자들이 5일 세계 최초로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에 성공한 후 준공식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LS전선명노현(왼쪽에서 다섯번째) LS전선 대표와 관계자들이 5일 세계 최초로 초전도 케이블 상용화에 성공한 후 준공식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LS전선



LG전선이 전기저항이 ‘0’에 가까워 송전과정에서 전기 손실이 거의 없는 초전도 케이블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

LS전선은 한국전력과 함께 경기도 용인시 흥덕 변전소와 신갈 변전소 사이 1㎞ 구간에 초전도 케이블을 설치하고 상업 운용을 시작했다고 5일 밝혔다. 초전도 케이블은 LS전선을 포함 유럽·일본·미국의 5개 기업이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상용화에 성공한 것은 LS전선이 처음이다. 앞서 LS전선은 지난 2004년 세계 4번째로 초전도 케이블 개발에 성공했으며 2015년 세계 최초로 직류80㎸급 초전도 케이블 실증을 완료해 세계에서 유일하게 직류(DC)와 교류(AC) 기술력을 모두 보유했다. 또한 세계 최대 용량·최장 길이의 초전도 케이블 개발에도 성공했다.


초전도 케이블은 기존 구리 케이블보다 낮은 전압으로 5~10배의 전력을 보낼 수 있다. 영하 196도에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 현상을 응용해 송전 중 손실되는 전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변압기가 필요 없어 변전소 면적을 10분의1로 줄일 수 있다. 초전도 케이블 1가닥으로 구리 케이블 10가닥을 대체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토목 공사비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초전도 케이블의 상용화는 유럽과 일본 업체들이 주도하던 전력 산업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갖게 되는 패러다임의 변화를 갖고 올 것”이라며 “한국전력과 협력해 해외 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