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정여울의 언어정담] 멀리서만 바라보면 미처 보이지 않는 것들

작가

내가 보고 싶은대로 타인 해석땐

진의 오해·왜곡해 관계 그르쳐

가까이서 바라봐야만 보이는

상대방 진심·슬픔에 귀기울여야




멀리서만 바라보면 미처 보이지 않는 것들이 있다. “그 사람 겉으로 보기엔 멀쩡해 보여서 아무 걱정 안 했는데, 알고 보니 심한 우울증이라잖아.” “그 친구는 늘 행복해 보였는데, 알고 보니 많이 아프고 힘들었더라고.”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우리는 주변 사람들을 너무나 제대로 모르고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에 가슴이 서늘해진다. 중학교 동창을 20년만에 만났는데, 서로 이런 이야기를 나누며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지금에야 고백하는 거지만, 나는 네가 참 부러웠어. 넌 항상 선생님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공부도 잘하고, 온갖 백일장을 휩쓸었잖아.” “무슨 소리야, 나는 네가 부러웠는데. 난 항상 외로웠는데, 네 주변에는 항상 친구들이 많았잖아. 넌 햇살같이 환하게 빛나는 아이였어. 난 항상 어두운데.” 우린 이런 이야기를 나누며 웃음을 터뜨렸다. 겉으로 미소지었지만, 마음은 시리고 아팠다. 서로 멀리서 바라만 보며 자신에게 결핍된 것을 부러워하느라, 서로의 아픈 진심 속으로 들어가 본 적이 없던 것이다.



우리는 서로 멀리서만 바라보기를 멈추고, 가까이 가서 서로에게 다정하게 물어보기 시작해야 한다. 걱정거리는 없는지, 아픈 데는 없는지, 밥은 제대로 먹고 다니는지. 타인에게 끝없이 오해받는 느낌만큼 시리고 아픈 것이 있을까. 나는 사람들의 오해와 편견 속에서 오랫동안 소외당한 경험이 있기에, 아직도 그 상처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나를 발견하곤 한다. 언젠가 나에 대한 ‘뒷담화’를 우연히 알게 되었을 때, 커다란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 내가 전혀 하지도 않은 일을 만들어서 누군가 ‘그 애가 그렇게 했을 거야’라고 지레짐작하고, 그 소문은 점점 더 커져서 ‘그 애는 원래 그런 애야’라는 식으로 헛소문이 돌고 있었다. 나는 그들과 관계를 끊었지만, 마음의 상처는 오래오래 남았다. 내 앞에서 웃으며 친근하게 다가오는 사람들조차도 이제는 믿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모든 뒷담화에는 엄청난 폭력성과 잔혹성이 도사리고 있다. 뒷담화는 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의 영혼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내가 전혀 하지 않은 일조차도 내가 버젓이 행한 일로 탈바꿈할 때도 있으며, 내가 하지도 않은 말을 누군가가 지어내고 또 그 말을 증폭시켜 헛소문이 된다. 타인을 멀리서 바라보며 서로에 대해 섣불리 지레짐작하는 일을, 우리는 멈춰야 한다.


이제는 행복한 척, 괜찮은 척, 멀쩡한 척 하느라 보이지 않았던 상대방의 슬픔과 그림자에 귀기울여주자. 가까이서 바라봐야만 보이는 것들, 애정을 기울여야만 알 수 있는 것들, 천천히 되새기며 잘 들어야만 들리는 것들을 공유하는 사이만이 진정으로 ‘친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내가 바라보고 싶은 대로 타인을 제멋대로 해석하다가 그 사람의 진의를 완전히 오해하거나 왜곡하는 것, 그것이 관계를 그르치는 가장 무서운 마음의 습관이다. ‘내가 바라보고 싶은대로 타인을 해석한다’는 것이 심리학에서 말하는 ‘투사(projection)’인데 바로 이 ‘투사’의 메커니즘 때문에 우리는 타인을 오해하고, 관계를 망치고, 사랑 대신 증오를 선택하는 것이다. 성급한 판단이나 헛소문에 동조하기보다는 ‘그 사람이 집에 가면 어떤 모습일까’, ‘혼자 있을 때는 무슨 생각을 할까,’ ‘그 사람의 고민은 무엇일까’ 질문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판단하는 것보다는 질문하는 것이 우리가 타인을 이해하는 데 훨씬 도움이 된다. 불완전한 정보에 입각해서 타인을 섣부르게 판단하며 오해를 부풀리기보다는 단 한 가지라도 직접 물어볼 때 타인에 대해 훨씬 많이 알게 된다. 오해가 발생했을 때는, 성숙하게 인정해야 한다. 내가 그 사람을 잘 모르고 있었다는 것을. 잘 모르면서 섣부르게 판단했음을. 당신이 괜찮은 척 하는 동안, 우리가 애써 행복한 척 하는 동안 멀어지는 것들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어떤 순간에도 빛을 바래지 않는 마음이 있다. 타인에게는 늘 ‘내가 짐작하지 못하는, 아름다운 생각의 여백’이 있을 거라고 믿어보는 것이다. 타인에게는 늘 ‘내가 상상하지 못하는 무엇’이 있을 것임을 인정할 때, 우리는 타인에 대한 차가운 의심을 애정어린 친밀감으로 바꿀 수가 있다. 타인의 마음 속에는 내가 결코 짐작할 수 없는 삶의 여백이 있을 것임을 잊지 말자. 누군가를 이해하고 존중한다는 것은, 바로 내 각도에서는 절대로 보이지 않는 타인의 마음 속 사각지대를 온전히 받아들이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