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印, 앱으로 번지는 反中…틱톡 등 59개 사용 불허

틱톡 유저 1.2억명, 타격 클 듯

샤오미, 간판 가리며 겨우 영업

인도 정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사용을 금지한 중국의 짧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 틱톡의 로고./AP연합뉴스인도 정부가 국가안보를 이유로 사용을 금지한 중국의 짧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 틱톡의 로고./AP연합뉴스



인도 정부가 틱톡·위챗 등 59개 중국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히말라야산맥 국경에서 발생한 중국군과의 유혈분쟁 이후 인도의 반중(反中) 정서가 확산된 결과로 풀이된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 전자정보기술부는 이날 “일부 중국 앱이 사용자 정보를 인도 밖으로 무단 전송했다는 불만이 접수됐다”며 “(이번 금지령은) 인도 사이버 공간의 안전과 주권을 보장하려는 조치”라고 밝혔다. 금지목록에는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의 짧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 틱톡과 중국 최대 모바일메신저 위챗, 게임 ‘클래시오브킹즈’ 등 59개가 포함됐다.


안보상 이유라는 인도 정부의 설명에도 이번 조처의 배경은 국경분쟁으로 비롯된 반중정서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사용이 금지된 앱이 모두 중국 기업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지난 15일 중국군과의 충돌로 인도군 20명이 사망하자 인도인들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사진을 불태우는 등 중국을 향해 노골적인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는 인도에서 간판을 가리고 영업하는 실정이다.

관련기사



통신은 이번 결정으로 중국 기업의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인구 13억5,000만명의 인도는 디지털 업계의 최대 시장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누적 다운로드 15억건을 돌파한 틱톡의 인도 사용자는 1억2,000만명으로 추정된다. 다만 통신은 이번 조치가 이미 내려받은 앱에 어떻게 적용될지는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인도 국민은 정부의 결정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인도 경영 컨설턴트 기업인 레드시어컨설팅의 아닐 쿠마르 기술 부문 책임자는 “중국 앱은 우리가 무엇을 말하고 어디를 가는지 안다는 점에서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