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커지는 '부의 대물림'...상속증여 신고재산 50조원, 2년 만에 10조원↑…

국세청, 2020년 국세통계 1차 조기공개

상속세 재산가액 4.7%↑ 21.5조...증여세는 3.1%↑ 28.3조

부가세 신고 가장 많은 업종은 부동산임대업 22%

서울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 아파트. /연합뉴스서울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 아파트. /연합뉴스



지난해 상속 또는 증여한 재산이 5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가가치세 신고가 가장 많은 업종은 부동산임대업이었다.

17일 국세청이 2020년 국세통계연보를 발간하기에 앞서 1차로 조기 공개한 95개 국세통계에 따르면 2019년 상속세 신고 건수는 9,555건으로 13.1% 증가했고 재산가액은 4.7% 늘어난 21조5,000억원이었다. 증여세의 경우 신고 건수는 4.3% 증가한 15만1,400건이며 재산가액은 28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둘을 합친 신고재산은 49조8,000억원으로 40조원이었던 2017년 보다 2년 새 10조원이나 많아졌다.

이에 비례해 상속세수는 2018년 2조8,315억원에서 3조1,542억원으로 11.4% 늘어났고, 증여세수는 4조5,274억원에서 5조1,749억원으로 14.3% 증가했다. 상속세와 증여세를 합해서는 7조3,589억원에서 13.2% 늘어난 8조3,291억원이었다.


국세청 세수는 284조4,000억원으로 2018년 대비 0.3% 늘어나는데 그쳤다. 세목별로는 소득세(89조원), 법인세(72조원), 부가가치세(71조원) 순으로 각각 3.3%, 1.7%, 1.2% 증가했다. 세수 1위는 금융업 남대문세무서(13조7,000억원)로 3년 연속 1위이며, 2위는 삼성전자 효과를 본 동수원세무서(11조4,000원)다. 법인세 신고법인 수는 79만개로 도소매업(23.3%), 서비스업(21.8%), 제조업(20.6%) 순으로 많았다.

관련기사



부가가치세 신고 인원은 675만명이며 전체 과세표준은 5,031조원(‘1.1%)이다. 업태별 신고 인원은 부동산임대업(22.0%), 도소매업(20.5%), 서비스업(13.9%) 순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임대업은 148만명으로 전년에 이어 가장 많았다.

골프장에 대한 개별소비세는 4.1% 증가했다. 반면 유흥주점(-5.1%)과 승용차(-18.6%)는 감소했다. 2019년 상반기분 근로장려금은 96만 가구에 4,207억원 지급했다. 근로장려금 수급자의 소득발생처는 서비스업(16.0%), 음식업(12.5%), 제조업(10.5%) 순이었다.

국세청은 오는 12월 국세통계연보를 발간할 계획이다. 이번에 1차 공개한 95개 항목은 전체(510개)의 18.6%다. 2차 조기공개는 11월로 예정됐다.
/세종=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