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규제에 엇갈린 리쇼어링…美기업 유턴 가속, 韓기업은 역주행

2315A02 한미리쇼어링지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이 자국 기업의 유턴을 적극 지원하고 나선 가운데 한국은 뚜렷한 리쇼어링(해외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성과가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각종 규제가 그대로인 상황에서 몇 가지 인센티브를 준다고 해서 막대한 자금을 들여 해외 생산기지를 국내로 회귀한다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2일 ‘미국·유럽연합(EU)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및 리쇼어링 현황 분석’ 자료에서 한국의 ‘리쇼어링 지수’를 측정한 결과 역외생산 의존도가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쇼어링 지수는 미국 컨설팅 업체 AT커니(Kearney)가 개발한 지표로 미국 제조업 총산출 중 아시아 14개 역외생산국(중국·베트남·필리핀 등)으로부터 수입하는 제조업 품목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플러스는 리쇼어링 확대를, 마이너스는 역외생산 의존도 증가를 의미한다.


미국의 리쇼어링 지수는 지난 2011년부터 계속 마이너스에 머물다 지난해 98로 반등하며 최근 10년 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전경련이 동일한 방법으로 한국의 리쇼어링 지수를 측정한 결과 지난해 -37로 나타났다. 2017년(-50)보다는 높지만 2018년(-11)보다는 낮다.

관련기사



전경련은 또 미국이 아시아에 치우쳐 있던 글로벌공급망(GVC)을 분산시킨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아시아 지역 의존도가 높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지난해 제조업 총산출은 2018년과 큰 차이가 없지만 아시아 14개 역외생산국으로부터의 수입은 7%(590억달러) 감소했다. 특히 대중국 제조업 수입이 전년 대비 17%(900억달러) 감소해 탈중국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반면 한국은 지난 10년간 대중국 제조업 수입 의존도가 연평균 7%씩 지속적으로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증가 폭이 점점 줄며 베트남이 이를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대베트남 제조업 수입은 전년 대비 9.6%(17억달러)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아시아 14개 역외생산국에 대한 수입은 중국이 60%, 베트남 12%, 대만 9%, 나머지 국가들이 각각 5%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전경련은 EU도 유턴기업이 증가하며 일자리가 늘고 있다고 주장했다. EU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총 253개 기업이 유턴했고 이 중 제조업은 85%를 차지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