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추미애 "소설 쓰시네"로 법사위 파행…野 "오만의 끝, 이쯤되면 인성 문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7일 오후 열린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7일 오후 열린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가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야당 의원들의 충돌로 한때 파행했다. 추 장관은 윤한홍 미래통합당 의원이 자신의 아들 관련 군 휴가 미복귀 의혹을 제기하자 “소설을 쓰시네” 라고 비꼬듯 말해 야당 의원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추 장관이 국회에 출석할 때마다 막말과 고성으로 국회가 아수라장이 되는 현상이 되풀이되면서 논란은 커지고 있다. 추 의원은 지난 22일 김태흠 통합당 의원의 ‘수명자’ 관련 질문에 “그래서 어쩌라는 건가”라고 답해 파장을 일으켰고, 지난 24일에는 곽상도 통합당 의원에게 “말씀 하시는 것 다 들어야 하냐”며 그를 5초가량 노려봤다.


윤 의원은 이날 법사위에서 고기영 법무부 차관을 지목, “올해 서울동부지검장에서 갑작스럽게 법무부 차관 발령이 났는데, 추 장관 아들 수사와 관련 있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동부지검에서 추 장관 아들의 군 휴가 미복귀 의혹을 제대로 수사하지 않은 대가로 차관으로 승진한 것이 아니냐는 취지다.

이에 고 차관은 “글쎄요”라고 대답했고, 곧이어 추 장관이 “소설을 쓰시네”라며 노골적으로 불쾌감을 드러내는 발언을 했다. 윤 의원은 추 장관에게 “국회의원들이 소설가입니까”라며 “동부지검장이 차관으로 와 있어서 동부지검에서 수사를 제대로 할 수 있겠나. 저는 안된다고 본다”고 즉각 항의했지만, 추 장관은 “질문도 질문 같은 질문을 하라”며 조금도 물러서지 않았다.

윤 의원과 추 장관의 설전을 시작으로 여야 의원들이 본격적으로 충돌했다.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발언 순서도 아닌 상황에서 윤 의원을 향해 “국회의원이라고 마음대로 그렇게 질문하는 사람이 어딨나. 장관에 대한 모욕이고, 차관에 대한 모욕도 된다”며 “근거를 대면서 물어보라”고 따졌다.


그러자 윤 의원은 “김 의원은 뭐하는 분이냐. 법무부 직원이냐 장관 비서실장이냐”고 쏘아붙였고, 김 의원은 “국회의원”이라고 맞받아쳤다. 이후 회의장이 곳곳에서 여야 의원들의 고성이 쏟아졌고, 급기야 민주당 소속 윤호중 법사위원장은 “질의답변이 진행되기 어려운 것 같다. 잠시 정회하겠다”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자리를 떴다.

관련기사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7일 오후 열린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자료제출 요구와 관련한 의원들의 의사진행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7일 오후 열린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자료제출 요구와 관련한 의원들의 의사진행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40여분 뒤 회의는 속개됐지만 추 장관의 ‘소설 쓰시네’ 발언을 둘러싼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장제원 통합당 의원은 윤 위원장을 향해 “피감기관장인 차관과 헌법기관인 의원이 질문답변하고 있는데 ‘소설쓰네’라고 조롱하듯 말하는 것은 국회 모독”이라며 “추 장관이 사과를 못 하겠다면 회의를 이대로 마쳐달라”고 요구했다.

김도읍 의원도 “질의 답변 중간에 불쑥 파행 빌미를 준 부분에 대해서 넘어갈 수 없다”며 추 장관의 사과를 요구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추 장관은 물러서지 않았다. 그는 “(아들이) 특권을 누린 적 없고 탈영 1시간도 없고 특혜 병가도 받은 적 없다”며 “사실관계에 대해 확신이 있으시다면 면책특권을 걷어 낸 뒤 주장하고, 그에 맞는 책임도 져 주시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추 장관의 ‘면책특권’ 발언에 법사위는 다시 한 번 정회됐다. 통합당 의원들은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추 장관의 교만과 오만의 끝은 어디인가. 추 장관이 국회만 들어오면 국회가 막장이 된다”며 “(추미애 장관) 본인을 지존으로 아는 것 같다. 자신이 20년 동안 몸담았던 국회를 모독한 사건이다. 그 국회에 침을 뱉었고 국민을 모욕한 사건”이라고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이어 “(이것은 장관의) 인격의 문제”라며 “이쯤되면 추미애 장관 인성의 문제다. 사과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결국 법사위는 다시 열리지 못하고 파행으로 끝을 맺었다.

조예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