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9월 총선' 미루려는 홍콩정부…질까봐?

내각서 입법회 선거 연기 논의

친중파 '판세 반전' 시도 의심

지난 28일 홍콩 시내에 있는 홍콩보안법 홍보판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지난 28일 홍콩 시내에 있는 홍콩보안법 홍보판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AFP연합뉴스



홍콩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오는 9월 입법회(국회)선거 연기를 추진한다. 홍콩 범민주진영은 “선거 패배를 우려한 친중파의 공작”이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선거가 실제로 연기될 경우 미중 갈등도 한층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홍콩 내각인 행정회의는 전날 회의를 열어 입법회선거 연기를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심각한 상태가 이어질 경우 선거를 미룰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홍콩 언론은 전했다. 입법회선거는 9월6일로 예정돼 있다. 행정회의는 31일 이후에 최종 결론을 내기로 했다. 홍콩 내 코로나19는 지난달까지 소강상태를 보였으나 최근 매일 100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다만 현지에서는 입법회선거 연기가 코로나19보다는 친중파가 현재의 불리한 선거구도를 뒤집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을 나타내고 있다. 송환법 시위의 여파로 지난해 11월 구의회선거에서 친중파가 참패했으면 최근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에 대한 홍콩 내 여론도 좋지 않다. 스탠리 응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홍콩 대표는 “입법회선거를 1년 연기해야 한다”며 “전인대가 개입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범민주진영은 반발하고 있다. 홍콩 민주화의 주역이자 선거 출마를 선언한 조슈아 웡은 “패배를 두려워하는 친중파 진영이 코로나19를 빌미로 선거 연기를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미국 등 서방의 비판적 시각도 강화되고 있다.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21일 트위터를 통해 “중국 정부의 9월 홍콩 입법회선거 개입 가능성을 경고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중국에서는 두 달 가까이 이어진 남부지방 홍수로 발생한 이재민이 5,500만명에 이르렀다. 중국 응급관리부는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8일까지 장시·안후이·후베이성 등 27개 성과 시에서 총 5,481만명이 수해를 당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158명이 사망·실종됐고 직접적인 재산피해는 1,444억위안(약 24조6,000억원)에 달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