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코로나 집콕에 라면 1조 팔려

전년比 7% 증가 '반기 최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올해 상반기 라면 시장이 1조1,000억원을 넘어서며 펄펄 끓었다. 간편함을 중시한 컵라면이 성장하다 다시 집에서 끓여먹는 봉지라면으로 돌아선 것 역시 코로나19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20일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상반기 국내 라면 시장은 전년 대비 약 7.2% 성장한 1조1,300억원으로 반기 실적 기준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해외에서도 K라면에 주목하면서 장수 브랜드들은 저력을 과시했다. 코로나19로 올 상반기 역대 최대 반기 실적을 기록하면서 ‘위기에 강한 식품’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지난 4~5년간 국내 라면 시장은 2조원대 안팎에 정체돼 있던 라면 시장은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K라면을 사재기하면서 안팎에서 K라면 러브콜이 이어졌다.


라면 구매 루트도 온라인으로 무게축을 이동했다. 라면 제품 특성상 주로 대형마트나 집 근처 편의점, 슈퍼마켓에서 구매가 이뤄지기 때문에 온라인 판매 비중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코로나19 탓에 소비자들이 온라인 장보기를 하면서 온라인 라면 판매도 증가했다.

관련기사



농심이 자체 분석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라면 매출 중 온라인 채널 매출은 약 400억원 수준으로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라면시장에서 전통강자는 더욱 빛을 발하며 신라면, 짜파게티, 안성탕면, 너구리 등에 쏠림현상이 나타났다. 신라면은 올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12.4%, 짜파게티는 23.2%, 안성탕면은 34.9%, 얼큰한 너구리는 28.4% 증가했다. 농심의 4대 대표 제품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농심 관계자는 “농심은 국내 5개 라면공장을 풀가동하고 생산품목을 조정하면서 수요에 적극 대응했다”고 말했다.

편의점을 중심으로 3~4년 사이 점유율을 높여오던 컵라면 매출은 줄고, 직접 끓여먹는 봉지라면 매출은 늘었다. 라면시장에서 컵라면 수요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했다. 2016 년 33.2%에서 지난해엔 37.5%까지 비중이 늘었다. 1인 가구가 늘고 편의점 이용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올해는 재택근무와 개혁연기 등 사회적 거리두기로 야외활동이 줄어 상반기 컵라면 매출 비중이 34.3%로 떨어졌다. 농심 관계자는 “집에 머무르는 시간에 늘어나면서 ‘집쿡(집에서 요리)’이 일상화 됐고, 라면도 간식의 개념에서 벗어나 식사나 요리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