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김선욱 "연주하며 베토벤이라는 인간에 매료됐죠"

■ 피아니스트 김선욱 이메일 인터뷰

9월 베토벤 후기 소나타 리사이틀 무대

십수년 탐구·연주한 베토벤임에도 불구

‘청력 잃고 어떤 소리 상상했을까’ 다시 고찰

“새로 느낀 흥분·감동 관객에게 전달하고파”




피아니스트 김선욱(사진)은 ‘베토벤 스페셜리스트’로 불린다. 2006년 영국 리즈 콩쿠르 우승 이후 2009년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곡 연주, 2012-2013년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 2017년 베토벤 3대 피아노 소나타 리사이틀 등 꾸준히 베토벤을 파고들었고, 독일 본의 ‘베토벤 하우스’ 멘토링 프로그램 첫 수혜자로 선정돼 베토벤 하우스 소장품을 독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격도 취득했다. 독보적인 해석과 연주로 ‘스페셜리스트’라는 수식어를 얻은 김선욱이기에 오는 9월 그가 선보일 베토벤 탄생 250주년 기념 리사이틀은 많은 클래식 팬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어느 때보다 깊게 베토벤의 고민을 고찰했다”는 그를 이메일로 만났다.

■‘베토벤 스페셜리스트’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 연주자인 만큼 팬들의 기대가 크다. 이번 공연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이번에 베토벤 소나타를 준비하면서 ‘마음의 소리’를 들으려고 노력했다. 베토벤이 청력 상실을 겪었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지만, 그가 어떤 소리를 상상하며 음표를 적었을까에 대한 부분은 예전에는 지금처럼 깊게 고찰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서 연습을 시작하기 전에 악보를 찬찬히 살펴보며 베토벤이 적은 음표와 주문들을 베토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려 노력했다. ‘내가 만약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다면?’ 이라는 가정하에 내가 그동안 연주해오며 기억한 음표들을 머릿속에서 다 지워버리고 새로 채워 넣는 작업을 반복했다. 그랬더니 모든 음표가 새로 들리기 시작했다. ‘내가 느낀 이 흥분과 놀라움을 연주로 잘 구현해서 청중들에게 전달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하며 연주 준비를 하고 있다.



■베토벤 하면 ‘불굴의 의지’, ‘역경 극복’ 같은 이미지가 떠오른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 19의 상황과 맞물려 이 같은 의미가 더욱 부각되는 것 같다. 수년간 베토벤을 파고든 연주자의 입장에서 지금 이시기에 국한되지 않은, 베토벤과 그의 음악이 갖는 의미를 설명해달라.


지성적으로 음악의 세계와 본질을 넓혀 후대 작곡가에게 많은 영향을 준 사람이 바흐라면, 음악에서 인류의 정신과 계몽시대의 정신을 녹여 스펙트럼을 무한대로 넓힌 작곡가는 바로 베토벤이라고 생각한다. 권위에 굴복하지 않으며, 끊임없이 자신의 예술을 갈고 닦으며 발전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어떤 시련이 와도 음악이라는 통로로 (그것을) 극복한 사람이었다. 스스로에게 굉장히 엄격했지만 때로는 매우 따뜻한 사람이었고 그에게 대중의 평가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자신의 예술의 대한 신념이 무엇보다도 강했기 때문에 자신만의 길을 고집 있게 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베토벤의 음악은 굉장히 이성적인 방법으로 사람의 감정을 움직인다. 베토벤의 음악을 연주하면서 베토벤이라는 인간에 먼저 매료되었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예술가에 가장 부합하는 사람이 베토벤이었다. 매번 그의 음악을 연주할 때 나는 조금씩 스스로 발전한다고 느낀다.

관련기사





■베토벤 탄생 250주년이기도 하지만, 베토벤 스페셜리스트인 김선욱이 선보일 베토벤 소나타 리사이틀은 관객에게 더 특별하게 다가온다. 연주자 본인에게도 이번 공연이 갖는 의미가 여러모로 남다를 것 같은데.

베토벤 25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에 피아니스트로서 그의 음악을 깊게 조명하고 청중과 나눌 수 있다는 점이 매우 기쁘고 소중하다. 베토벤의 음악은 우리 모두에게 큰 위로를 준다. 이 어려운 시기에 조금이라도 힘과 위로를 드릴 수 있다면 연주자로서 매우 행복할 것 같다.

■앞으로의 목표는?

매년 1%씩 발전하는 예술가가 되는 것이 어렸을 때부터 꿈이었다. 매 연주에 최선을 다하고 묵묵히 내가 가고 싶은 길로 올바르게 조금씩 발전하는 것이 목표다.

김선욱의 ‘베토벤 후기 피아노 소나타 리사이틀’은 오는 9월 13일 오후 7시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만나볼 수 있다. 공연에서는 베토벤 피아노 작품 중 최후의 소나타들로 알려진 베토벤 3대 후기 피아노 소나타(소나타 30·31·32번)를 연주한다. 심해진 난청으로 인해 오로지 감성과 상상력에 의존해 만들어낸 걸작들로, 자기 자신과의 사투를 이겨낸 후 힘들었던 인생을 찬찬히 되돌아보는 듯한 자기 고백적인 장면이 떠오르는 작품들이다. 서울 공연에 앞서 8일 대구 수성아트피아, 10일 고양아람누리, 11일 부산 영화의전당 등 지방 투어도 진행한다.
사진=빈체로(Marco Borggreve)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