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과기정통부, 양자정보 생태계에 활력 불어 넣는다

8월 넷째 주를 ‘양자정보주간’으로 선정

다양한 학술행사 개최

28일‘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 개소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성형주기자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성형주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양자정보(Quantum Information) 생태계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양자정보 분야의 미래 성장기반 강화를 위해 8월 넷째 주를 ‘양자정보주간’으로 정해 다양한 학술행사를 개최하고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를 개소한다고 밝혔다. 양자정보란 초미세 영역의 자연현상인 중첩성·불확정성·얽힘 등 양자물리적 특성을 정보처리에 응용하는 기술이다. 초고속 연산(양자컴퓨팅), 복제 불가능한 정보 전달(양자암호통신), 초정밀 신호 측정(양자센싱) 등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국가 안보와 미래 산업에 큰 영향을 끼칠 혁신 분야 중 하나로 꼽힌다.

25~27일에는 양자정보 학술대회와 양자컴퓨팅 국제 콘퍼런스가 연계 개최되고, 28일에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양자소자 제작서비스 등 관련 연구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가 문을 연다.


25일 온라인으로 열리는 ‘양자정보 학술대회 2020’에서는 양자컴퓨팅·양자암호통신·양자센싱 등 분야별 최신 연구동향과 연구성과 등이 발표된다. 모든 행사는 온라인(줌)으로 진행되며, 한국광학회 홈페이지에서 사전 등록을 통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올해 3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과기정통부가 후원하고 한국광학회 양자광학 및 양자정보 분과가 주최한다.

관련기사



26~27일에는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양자정보과학기술연구회 등이 주관하는 ‘양자컴퓨팅 국제 콘퍼런스 2020 (ICQC2020)’이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양자컴퓨팅 기술개발 사업 연구그룹 간의 연구현황 공유 및 협력방안 발굴 중심의 연구협업체계 강화가 추진된다. 작년에 구글의 양자우월성 달성을 이끈 존 마티니스 미국 UC샌타바버라 교수 등이 해외 석학이 최신 연구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모든 행사는 유튜브 등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양자정보과학기술연구회 홈페이지에서 사전 등록을 통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28일에는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가 성균관대학교에 활동을 시작한다. 이 센터는 올해부터 5년간 490여억원이 투입되는 ‘양자정보과학 연구개발생태계 조성’ 사업 전반을 책임지고 수행한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정부도 연구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발전적 연구생태계 구축을 위해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성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